쏟아지는 기업소유 매물 어떤 영향 미치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기업 소유 부동산이 대량 쏟아져 나오면 부동산 시장에 어떤 영향이 미칠까. 일단 일본같은 급락현상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우선 매물 규모로 따져 연간 거래량 (95년 부동산시장기준) 3백48조원 (국토개발연구원 추산) 의 3%미만 수준이기 때문에 파급효과가 크지는 않을 것으로 부동산관계자들은 보고 있다.

그러나 계속 경제가 어려워 도산하는 기업들이 속출할 경우엔 부동산 시장도 얼어붙을 수 밖에 없다.

국토개발연구원 정희남 (鄭希男) 책임연구원은 "경제가 어려워지면 기업들이 부동산을 팔아 경영난을 타개하려 할 것이고 이렇게 되면 심리적 요인이 가격 하락을 부채질할 것" 으로 내다봤다.

부동산전문가들은 이들 매물이 쉽게 팔릴 수 없는 이유를 3가지 측면에서 보고 있다.

우선 매물덩치가 크기 때문에 기업외에 수요가 없다는 점을 꼽고 있다.

게다가 경기침체가 오래가면서 대부분 기업들의 투자심리가 위축돼 선뜻 손을 대지 않으려 한다.

실제 이들 기업이 내놓은 부동산은 거의 대규모 공장부지와 사옥등으로 팔린 것은 소규모 부동산에 한정돼 있다.

건설.부동산업계에서는 공장부지등 대형 부동산의 경우 잘게 쪼개 팔지 않는 한 자구계획에 차질을 빚을지도 모른다고 말한다.

매물로 나온 부동산에 채권단들의 담보가 복잡하게 얽혀있는 것도 장애요소다.

일반인이 매입한다면 근저당을 설정한 금융권의 동의를 일일이 받아야 하는데다 금융권도 일반인에 대한 매각을 기피하기 때문이다.

대형건설업체 한 관계자는 "우선 군침이 돌만한 부동산이 없는데다 은행권 담보가 복잡하기 때문에 매입에 선뜻 나설 수 없다" 며 "따라서 주택업체들의 아파트사업용 부지를 제외하고는 쉽게 팔릴 수 없을 것" 으로 내다봤다.

금융.부동산실명제 실시로 시중 뭉칫돈이 부동산시장으로 흘러들어오지 못하는 것도 매각부진을 야기하는 또다른 요인이다.

과거 같으면 대형매물이더라도 투기성 가수요가 비실명으로 매입한뒤 분할매각등을 통해 차익을 챙기는 경우가 있었지만 실명제 이후에는 자금출처조사등으로 어렵게 됐다.

손용태.황성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