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마크제도 표류 …소비자 외면해 실효 없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7면

환경마크제도가 지난 92년 처음 도입된 뒤 5년이 지났는데도 여전히 표류하고 있다.

국민들의 환경의식이 91년 페놀사고이후 높아진 것은 사실이지만 소비자들이 막상 제품을 살 때는 환경친화성을 고려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독일의 경우 코흘리개 초등학생을 비롯한 소비자의 60%가 환경마크를 획득한 제품을 사는 것과는 딴판이다.

국민의 환경의식을 일깨우고 작은 것부터 실천하는 의지를 갖게 하자는 당초의 취지가 무색한 실정. 환경부에 따르면 올해 5월 현재 환경마크를 사용하고 있는 상품은 34개 제품군 1백34개업체의 2백27개 제품에 달한다.

내년말까지 저공해 잉크등 11개 제품군이 추가돼 제품수도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개발된 제품도 초기에 화장지.섬유등 4개 제품군으로 시작해 이제 교환형 칫솔에서부터 빈 캔 회수기와 폐자재를 이용한 블럭등으로 꽤 다양해졌다.

이처럼 5년이라는 짧은 시간에 양적으로는 상당히 성장했으나 소비자들이 외면하고 있어 문제다.

또 환경부는 아직까지 환경마크제도가 어느 정도 실효를 거두고 있는지 현황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환경운동연합등 관계자들은 "환경마크제도가 정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소비자들이 이 제도나 상품을 잘 알지 못하고 있고 정부당국도 홍보를 게을리했기 때문" 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환경부는 올해 4월 4억원을 들여 환경마크제도의 개선연구에 착수했다.

윤석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