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선후유중 최소화 위한 당정개편론 부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여권 내부에서 조기 당정 (黨政) 개편론이 떠오르고 있다.

진원지는 당쪽이다.

당초 당정개편의 수순은 '선 (先) 내각개편, 후 (後) 당직개편' 설이 유력했다.

김영삼 (金泳三) 대통령의 여름휴가가 끝나는 다음달초 개각을 단행한 뒤 당직은 9~10월께 당 총재직 이양과 맞물려 실시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경선 후유증을 최소화하고 당의 면모를 일신하기 위해 정부뿐 아니라 당 개편도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자마자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다.

이같은 조기개편론은 특히 지난 26일 신한국당 주요 당직자들이 일괄 사표를 제출하면서 구체화되는 중이다.

이날 사표를 제출한 사람은 박관용 (朴寬用) 사무총장, 김중위 (金重緯) 정책위의장, 박희태 (朴熺太) 원내총무, 박세직 (朴世直) 세계화추진위원장, 유흥수 (柳興洙) 국책자문위원장등 5명. 물론 이들의 사표 제출은 다소 의례적인 성격이 가미돼 있었다.

한 당직자는 "새로 선출된 대표의 운신의 폭을 넓혀주기 위해 전당대회 직후 일괄사표를 제출키로 사전에 뜻을 모았다" 며 "다만 재.보궐선거 분위기를 우려해 제출시기가 다소 늦춰졌다" 고 설명했다.

그러나 당직자들의 사표제출 이후의 분위기는 달라지고 있다.

우선 이회창 (李會昌) 대표 주변에선 당직개편시기를 늦추는게 좋지 않다는 주장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특히 김윤환 (金潤煥) 고문을 중심으로 이같은 조기개편 의견이 강력하게 대두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李대표도 그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다만 지금 개편을 단행할 경우 총재직 이양후 또 한차례의 당직개편이 불가피하다는 점이 장애다.

어쨌든 개편여부는 28일 金대통령과 李대표간의 전화협의를 통해 매듭지어질 전망이다.

李대표의 한 측근은 "총재직 이양시점으로 잡혀있던 당직개편은 金대통령의 휴가가 끝나는 다음달초 단행될 수 있다" 며 조기개편의 가능성을 시사했다.

박승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