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시내 식품접객업소들 영업시간 연장을 둘러 싼 공방 치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대구시가 술집.식당등 대구 시내 식품접객업소들의 영업시간을 지금처럼 밤12시까지로 계속 제한키로 한 방침과 관련, 업계에서는 즉각 "약속을 어긴 것" 이라며 반발하고 나서 영업시간 연장을 둘러 싼 공방이 더욱 뜨거워지고 있다.

대구시는 업계의 영업시간 연장요구가 계속되자 "시민들의 반대의견이 60%를 넘지 않으면 규제를 완화하겠다" 고 약속, 대구의 유력 2개 여론조사기관에 의뢰해 여론조사를 한 뒤 그중 한 여론조사기관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14일 "영업시간을 지금처럼 밤12시까지 제한하기로 했다" 고 밝혔다.

여론조사는 '영업시간을 지금처럼 밤12시까지로 할 것인 지, 아니면 다른 시.도처럼 새벽2시까지로 연장할 것인 지' 를 알아 보기위한 것이었다.

대구시가 영업시간 제한근거로 내 세운 것은 경북대 여론홍보연구소의 조사결과. 이 연구소는 "응답자의 63.5%가 전반적인 사회분위기와 청소년문제등을 들어 영업시간 연장을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 밝혔다.

이 연구소는 지난달 19일부터 이달 7일까지 정치.행정.교육.법조.경찰.의료.언론.상공인등 여론지도층 인사 2백70명을 대상으로 2차례에 걸쳐 직접 면접조사를 했다.

반면 매일리서치의 조사에서는 반대의견이 54.8%였다.

그러자 유흥업중앙회대구지부.음식업중앙회대구지부등은 "대구시가 반대의견이 많은 쪽의 결과만을 토대로 이같이 결정한 것은 형평성을 잃은 것" 이라며 "두 기관의 조사치를 평균하면 59.15%인 만큼 처음 약속한대로 시간연장을 해 줘야 할 게 아니냐" 고 반발하고 있다.

이에 대해 대구시 위생과 관계자는 "경북대의 여론조사가 더 신뢰할 수 있어 한 결과만을 선택한 것으로 안다" 고 밝혔다.

식품접객업소의 영업시간은 시.도지사가 결정하도록 돼 있으며 부산.인천.대전.강원.전북.제주등 8개 광역자치단체는 새벽2시까지로 돼 있다.

대구 = 송의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