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일기>시내버스 요금 또 인상 시민은 봉인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서울 시내버스 요금이 또다시 시민 호주머니에서 해결책을 찾고 있다.

버스회사 횡령이 검찰 수사로 드러난 직후 서울시가'요금 환원불사'를 외치며 기세좋게 뒤지기 시작한'버스회사 주머니'가 열어보니 감당못할 온갖 문제가 튀어나오는'판도라의 상자'로 판명됐다는 것이다.

시는 따라서 이같은 상자를 일단 덮고 지난 3월 버스 파업때 임금인상분등을 감안해 도시형 버스의 경우 30원 인상안을 전격적으로 내놨다.버스회사 6개가 파산 직전에 놓이는등 어려운 업계 사정을 감안할때 실제로 54원을 올려야 했지만 과감히 삭감했다는 설명과 함께. 하지만 이번 인상 역시'시민은 봉일 수밖에 없는'과거의 요금인상 전례를 충실히 따르고 있다.

우선 버스 이용객의 3분의1 가까이 되는 현금승차 시민에게 50원 인상 효과가 나타나도록 한 할증료 20원의 부활이다.

버스카드나 토큰을 사용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한다.하지만 변두리지역에서는 아직도 '하늘의 별따기'같이 구하기 힘든 카드와 토큰 사용자는'본전치기'를 할 뿐이며 현금사용자는 불편을 조장한다는 이유로'과징금'을 무는 격이다.

대신 버스업계는 하루 2천4백60여만원의 '부수입 재미'를 톡톡히 보게 될 전망이다.

또한 버스카드와 버스안내시스템 설치 비용,도시형버스 냉방화 비용이 이번 요금인상분 30원중 각각 1.9원과 7.8원을 차지하는등 시민부담으로 전가되고 있다.

서울시는 더구나 판도라의 상자를 닫으면서 요금검증위원회의 실사 결과 지난해 요금인상때 과다인상된 것으로 드러난 10.5원에 대해 환원도,해명도 하지 않았다.

이때문에 일부 시민단체가 적자요인및 운송원가를 산정한 기초자료에 신빙성이 없다고 반발하고 있는데도 말이다. 강홍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