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리콜制 비상 업체들 대책 부심-이달 중순 시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1면

이달 중순부터 시행되는 식품리콜제로 식품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회사내에 위기관리팀을 구성하는가 하면 시설을 개보수하고 문제발생시 책임소재와 원인을 규명할 수 있는 생산실명제등을 속속실시하고 있다.
해태유업의 경우 인체 유해의 논란소지를 없애기위해 지난달에 우유를 집유하는 1천4백여 낙농가의 착유용 밀크호스 1만1천를덴마크산 신품으로 모두 교체했다.
또 이 회사가 생산하는.튼튼우유'.엘리트 고칼슘우유'등의 포장에 생산일과 당일 근무한 생산자를 가려낼 수 있는 번호를 붙여 문제발생시 원인을 역추적할 수 있도록 했다.
빙그레는 라면 제품에다 제조월일과 제조자를 알 수 있는 암호를 부여해 문제발생에 대비했으며 사내 합숙훈련을 통해 리콜발생때 물건을 회수하는 연습등을 골자로 한 리콜제 수업을 시키고 있다. 크라운제과는.식품리콜제'라는 매뉴얼을 전직원에게 배포하는 한편 추적관리시스템과 회수전담팀을 구성했다.
식품업계가 이처럼 리콜제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는 것은 이 제도가 향후 회사의 운명과 업계의 판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이와 관련,보건복지부 식품진흥과 정형선과장은 “자진회수를 유도했던 기존의 규정과 달리 이 제도가 시행되면 사고시 강제회수및 폐기처분은 물론 영업정지및 허가취소등이따르게 된다”고 밝혔다.
정부는 리콜제 실시에 앞서 관련 공무원과 의사.수의사.학계인사등 11명으로 구성된 식품회수 평가심의위원회를 결성했다.
〈고혜련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