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회 中.高生 논술경시대회 중학생部 금상 우수답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1950년대 끔찍했던 6.25 이후 1960년대에 들어서며 실시되었던 경제개발계획 덕택으로 우리는 물직적으로 부족함이 없는 생활을 하고 있다.이는 기성세대들이 청춘마저 반납하고 자손들을 위해 「먹고 살 수 있는」 사회 건설에 노력 한 결과이다.이는 실로 존경해야 할 일이다.그때의 땀 위에서 우리는 지금과 같은 풍요로움을 누리게 되었다.세계무역 순위 10위라는 우리 나라의 눈부신 도약은 실로 놀라운 일이다.하지만 경제성장이라는 미명 하에 도덕이나 인권 등 많은 것이 상처를 입은 것 또한 사실이다.요즘 신세대들이 기성세대들의 향락문화를 배워 무절제한 생활을 하는 것,부모들의 무관심으로 인하여 부쩍 늘고 있는 청소년 범죄,문란해진 성도덕 등은 그 대표적인 예이다.그럼 과연 보다 나은 사회, 바로 진정한 「선진국」을 이루기 위해 기성세대들이 고쳐야 할 점들과 우리 신세대들이 기성세대들과달리 사회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우선은 기성세대들이 바꿔야만 할 사고이다.그럼 첫 번째로 무사안일주의를 버려야 한다.정말 필요한 일이라면 때로는 자신에게돌아올 수 있는 어떤 종류의 손해라도 감수하여 옳은 일을 수행할수 있어야 한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나라의 행정을 보면 「이것이 아닌데…」하는 생각이 드는 경우가 많다.많은 사람들이새로운 일을 추진하면서 고난을 당하기보다는 악습을 되풀이하고 있는 것 같다.현재 우리 나라의 행정권을 지니고 있는 이들은 모두가 기성세대들이다.이런 무사주 의는 꼭 고쳐야 할 사고이다. 두번째로 「모든 배움은 끝났다」라는 생각을 버려야만 한다.
지금부터 다시 배우기 시작한다는 열린 마음을 지녀야 하는 것이다.기성세대들이 배울 수 있는 대상은 물론 다른 기성세대도 해당되겠지만 가장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경우는 신 세대를 통해 배우는 경우이다.신세대들은 많은 면에서 기성세대들과 다르다.이런 다른 신세대들이 기성세대인 자신들과 다를 수밖에 없음을인정하고 자신의 가치관을 강요하는 것을 버릴 때,또 신세대들의적극성 등을 배울 때,그때 신세대와 기성세대간의 자유로운 교감이 가능하며,보다 폭넓은 이해로 다른 이의 처지를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세번째로 현대 우리 사회가 지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노력의 의무가 있음을 자각해야 한다.얼마 전에 중학교 3학년 여학생이 수업 중 아이를 낳는 일이 일어났다.이 일은 청소년들의 성폭행으로 인해 일어났다고 한다.이런 사건들 을 접해도 단지 「쯧쯧쯧,세상에…」라든지 「어떻게 저럴 수가」등의 말로 끝나서는 안된다.무너져가는 성도덕을 다시 추스르기 위해 자신의 자녀들에게 올바른 성관념을 심어주고 지키게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면 이번에는 우리 젊은 세대들이 기성세대와는 달리 할수 있는 일을 살펴보자.
우선 우리들은 아직 젊고 어리기 때문에 올바른 결론을 내리기위한 다소의 시행착오를 겪을 수 있다.시행착오는 단순히 길을 돌아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 과정을 통해 이 길은 무엇이 나쁘고 저 길은 무엇이 잘못되었는지를 알 게 해 우리의성장에 도움을 준다.미래의 주역인 우리의 성장은 사회의 발전에도 영향을 미친다.
또한 젊은 세대들은 아직 사회의 틀에 완전히 갇히지 않았으므로 자유로운 비판정신과 창의력으로 생활할 수 있다.비판의 정신과 창의적인 사고는 민주사회의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요소라 하겠다.그리고 아직 정해지지 않은 미래를 갖고 사 는 세대이기때문에 모든 일에 의욕을 지니고 대할 수 있다.이 의욕이라는 것은 일의 효율을 몇 배나 높여주는 중요한 것이다.그리고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가 아직 때묻지 않은 건전한 사고를 한다는 것이다.덕분에 세상을 긍정 적인 면으로 이해하고 우리가 사회를 긍정적인 면으로 이끌 노력을 하게 된다.
지금까지 기성세대가 고치고 가져야할 사고와 젊은 세대들이 할수 있는 일을 알아보았다.사람에게는 각자의 역할이라는 것이 있다.교사에게는 교사대로의,목수에게는 목수대로의 역할이 있는 것이다.기성세대의 역할은 사회를 유지시키고 운영하 는 것이고 신세대의 역할은 새로운 가치관과 사상으로 새로운 사회를 구현해 나아가는 것이다.두 세대 모두가 각자의 역할에 책임을 다하고 서로를 이해하며 발전할 때 진정한 과거와 현재의 화합이 가능한것이다.그 때에는 결코 선진사회,도 덕이 지배하는 사회가 허황된 꿈만은 아닐 것이다.
오윤환 서울 용문중3년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