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함별황자총통 의문투성이 결정경위-인양 사흘만에 국보지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문제의 「귀함별황자총통」은 92년 8월18일 인양,사흘만인 21일 바로 국보지정 결정이 내려졌다는 점에서 졸속지정의 지탄을 피할 수 없다.
이 사기사건의 공범 혐의를 받는 조성도 당시 해군사관학교 박물관장은 8월20일에 이를 기자회견을 통해 발표했고 해군본부측은 이날로 국보지정 신청을 했다.문화재 관리국은 20일에 감정조사를 벌인뒤 다음날인 21일 문화재위원회에서 이 를 가결했다.당시 문화재위원이던 황수영 전 동국대총장은 『총통은 우선 청와대에 가져가 대통령에게 보고한 뒤 해사박물관으로 도로 내려가는 길에 문화재위원회에 잠시 공개됐다』고 말하고 『별다른 이의제기나 토의없이 몇분만에 바로 의결됐던 것으로 기억한다』고 말했다. 통상 국보지정이 1~2개월 이상의 검토기간을 거쳐 이뤄지는데 비해 엄청난 초스피드였던 셈이다.
당시 이에대한 보고서를 냈던 이강칠 문화재위원회 전문위원(전마사회 박물관장)과 문화재관리국의 입장은 동일하다.
『해군공식기구인 「충무공 해저유물조사단」이 인양했고 임진란사연구 전문가인 조성도 해사 박물관장의 평가가 있었기 때문에 진위에 대해 의심하지 않았으며 형태와 총포에 새겨진 주조연대로 보아 조금도 의문점을 발견할 수 없었기 때문』이 라고 밝히고 있다. 당시 참석했던 또다른 문화재위원은 『이미 공식발표가 나있는 상태라 진품여부에 대한 의심없이 결정을 내렸다』고 말했다.
김용선.조현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