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K-2 이전 시민운동으로 확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8면

대구 공군기지(K-2) 이전이 시민운동으로 확산되고 있다.

대구시와 K-2 이전 대구시민추진단 준비위원회는 26일 대구은행에서 K-2 이전 대구시민추진단 발대식을 연다. 이 자리에는 500여 명이 참석해 이인중 대구상공회의소 회장과 노동일 경북대 총장을 공동의장으로 선출하고 집행위원회 임원도 뽑을 예정이다. 이어 학계와 군·대구시 관계자가 참가하는 ‘K-2 이전 대토론회’가 열린다. 대구시민추진단은 김범일 대구시장과 지역 국회의원 등 41명의 고문단과 대구시의원 등 47명의 집행위원으로 구성된다. 대구경실련·대구흥사단 등 26개 단체도 참여한다.

대구시민추진단은 다음달 초 K-2 이전 100만 서명운동에 나선다. 또 시민 수만명이 참가하는 궐기대회도 열어 정부의 관심을 촉구할 예정이다.

서홍명 준비위원장은 “K-2는 동·북구뿐 아니라 대구시의 발전을 가로막는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며 “동·북구 중심의 이전운동을 대구시민운동으로 전개하려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동·북구 주민으로 구성된 ‘K-2 이전 주민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해 11월부터 39만6000명의 서명을 받아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제출한 바 있다. 공군기지 이전운동의 성과도 일부 나타나고 있다.

국방부가 이전 타당성 조사 용역비를 내년 예산에 반영했기 때문이다.

한나라당 유승민(동구을) 의원 측은 “기획재정부에서도 용역 예산이 통과돼 국회 의결만 남겨 두고 있다”며 “이는 정부가 공군기지 이전 문제를 심각하게 보고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정부가 주민의 요구에 따라 조사 용역 예산을 편성한 것은 처음이어서 주목된다.

K-2 이전 운동이 지역 전반으로 확대되는 것은 공군기지 주변지역의 건물 높이제한으로 동대구역세권과 동구 개발이 지지부진하기 때문이다. 서 위원장은 “인구 250만의 대도시 안에 공군기지가 위치해 개발의 발목을 잡고 주민에게 고통을 주는 곳은 대구밖에 없을 것”이라며 “정부가 정책으로 채택할 때까지 이전운동은 계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오세철 대구시 군사시설이전담당은 “공군기지 이전이 시민운동으로 전개되면 정부도 이 문제의 절박성을 인식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K-2는 동구 검사·지저동 등 6.4㎢에 걸쳐 위치한 공군기지로 제11전투비행단과 군수사령부·남부전투사령부가 있다. 1936년 일본군이 만들었으며 58년 공군부대가 정식으로 창설됐다. 항공기의 소음 피해로 주변 동·북구 주민 28만명이 고통을 겪고 있다.

홍권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