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정무장관 부활 목소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여대야소의 뒤바뀐 정치환경 속에서도 노무현 대통령은 기존의 당정(黨政)분리 원칙을 고수했다. 21일 열린우리당 지도부와의 만찬에서 盧대통령은 "입당하더라도 당직임명이나 공천개입.당권경쟁 등 정파적 이해에 개입하지 않고 당 지도부에 해당하는 당직도 맡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盧대통령의 당정분리 선언에 대해 윤태영 대변인은 22일 "공천, 당직 인사권을 갖고 의원들을 '대통령의 사람들'로 만들어 예속시키는 제왕적 폐해를 없애겠다는 것은 盧대통령이 구상해온 정치개혁의 최우선 순위"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대통령과 여당의 분권(分權)은 과도한 권력집중이 불러올 부패를 막기 위한 필수조건"이라고도 강조했다. 이대로라면 외양상으론 여당의 자기 목소리가 높아지고 정국 현안을 주도해가는 모양새가 예상된다.

盧대통령은 그러나 "책임 있는 당원으로 당 운영에는 참여할 것""당의 갈등이 위기에 이를 경우 일반적 원칙을 제시하는 수준에서 참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당의 기능과 역할을 적절히 제어하겠다는 의사표시다.

대통령 특보이자 당 고문인 문희상 전 비서실장을 당.청 간의 정치적 채널'로 지목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당의 생각을 청와대가 전달받기보다는 청와대의 생각을 당에 주입하는 쪽에 비중이 있는 것이다. 청와대의 한 수석비서관은 "당정분리 상황에서 盧대통령이 공개 언급하기 어려운 미묘한 사안이나 간접 메시지를 당에 전달하는 역할을 맡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盧대통령은 만찬에 앞서 文전실장을 따로 불러 현 정국 상황에 대한 논의를 하기도 했다. 열린우리당 내에서 정무장관 직의 부활론이 거론되고 있는 것도 비슷한 맥락이다. 여권이 구상하는 정무장관의 역할은 과거 정무장관의 그것과는 다르다. 과거의 정무장관은 당정 일체적 개념의 자리였다.

지금은 당과 정부가 분리된 상황 속에서 정부와 야당 간의 대화 채널을 확보한다는 의미가 보다 강하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정무장관 부활에 대한 盧대통령의 언급과 내부 검토는 아직 없었다"고 말했다.

최훈.신용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