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바루기] 빈소 / 분향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6면

하동 평사리를 무대로 700여 명의 인물이 등장하는 『토지』의 작가 박경리 선생께서 별세했다. 독자들이 뽑은 가장 유력한 노벨 문학상 후보였던 고인이기에 슬픔은 더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빈소를 찾아 조문하고 ‘우리 문단의 큰 별이 졌다’며 유족과 문인들을 위로했다” “고인이 말년을 보냈던 원주시도 토지문학공원 내 선생의 집필실에 시민들이 조문할 수 있도록 분향소를 설치하기로 했다”에서 쓰인 ‘빈소’와 ‘분향소’는 둘 다 조문할 수 있는 곳이지만 다른 장소다.

‘빈소’는 상여가 나갈 때까지 관을 놓아 두는 방으로, 세상에 단 한 곳밖에 없다. “박경리 선생의 빈소가 마련된 서울 아산병원 장례식장에는 각계각층의 인사와 문인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처럼 쓸 수 있다.

‘분향소’는 ‘분향을 하는 장소’란 의미로, 빈소와 달리 여러 곳에 설치할 수 있다. ‘국립국어원은 ‘-소(所)’가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장소, 기관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로 기능하기에 ‘분향소’를 복합어로 인정하고 있다. “박경리 선생의 고향인 통영시도 강구안 문화마당에 분향소를 설치해 시민들의 조문을 받았다”처럼 쓰인다.

권인섭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