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정 한파 정국急冷-與"엄정수사" 野선"음해"반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검찰이 의원등 정치인 이권개입과 교육위원선출비리,6.27선거부정사례에 대한 조사를 확대하고 있어 정치권의 긴장이 고조되고있다.이번 사정(司正)의 규모는 92년 문민정부출범이후 한차례있었던 대대적인 사정이후 가장 강도높고 광범위 하게 진행되고 있다는 지적이어서 정가에는 제2의 사정정국이 도래하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과 함께 정국이 급랭하고 있으며 정기국회의 파란이 예상되고 있다.이와관련,민자당은 30일 비리와 선거부정에 대한엄정한 수사를 거듭 촉구했고 국민 회의는 형평성을 잃은 사정이라고 정부를 비난하며 정기국회를 통한 정치적 대응과 교육위원선출비리 의혹을 제기한 서울시의회 백의종(白懿宗)의원에 대한 법적대응 검토방침을 밝혔다.
〈관계기사 3,6面〉 현직국회의원 뇌물수수 의혹사건에 대한 검찰 수사가 전면 확대되고 있다.
대검중수부(부장 李源性검사장)는 31일 오전 업체에 은행대출을 알선해 주고 6천만원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는 새정치국민회의 소속 최낙도(崔洛道.57.전북 김제)의원을 소환,철야조사를벌였다. 검찰은 또『서해유통으로 부터 뇌물을 받은 혐의를 받고있는 야당 某의원에 대한 은행계좌추적 결과 이 의원이 서해유통과 또다른 업체로부터 금품을 받아 친인척 명의로 된 계좌 3~4개에 보관하고 있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다음주중 이 야당의원을 소환,사법처리 한다는 방침이다. 검찰은 이날 소환된 崔의원을 상대로 전주시소재 창틀제조 전문업체인 프레스코 김수근(金壽根.42)사장으로부터 전북은행에서 20억원을 대출받도록 알선해준 대가로 6천만원을 받았는지 여부를 집중 추궁했다.
검찰은 崔의원을 조사한후 혐의사실이 확인되는 대로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의 알선수재혐의를 적용,금명간 구속영장을 청구할 방침이다.
교육위원 선출비리 수사가 전국으로 확산,시.도의원등 60여명이 수사선상에 올랐다.서울지검 공안1부는 31일 서울시교육위원후보들에게 亞太재단 헌금을 종용한 것으로 알려진 서울시 의회 부의장 김기영(金箕英)의원을 다음주초 소환,조사 키로 했다.검찰은 이와 함께 교육위원 후보자중 亞太재단 후원회원으로 가입,헌금을 한 것으로 알려진 20여명을 모두 소환키로하고 이날 이중 3명을 조사했다.
검찰관계자는『亞太재단측이 金부의장과 사전공모해 당선을 조건으로 헌금을 거둬들인 사실이 드러날 경우 재단 관계자도 사법처리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수원지검 공안부도 31일 자진출두한 경기도의회 의원 이충선(李忠善.53.민주)씨가 금노리개와 행운의 열쇠를 받았다고 진술함에 따라 10여명에 대해 이번주내로 구속여부를 결정하기로했다. 광주지검 순천지청도 31일 교육위원후보에게 금품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진 전남도의회 南모(39)의원등 도의원 5명과 교육위원후보 3명의 은행계좌에 대한 압수수색영장을 발부받아 조사중이다.
당국은 이미 민자당의 송철원(宋哲元)성북갑지구당위원장을 공천헌금 수수로 구속했다.이와함께 선거부정에 대해서도 수사를 벌이고 있다.
검찰의 선거부정조사와 함께 중앙선관위는 선거비용실사를 조속히마무리하고 위반자를 검찰에 고발하는등 강력대응키로 했다.선관위는 선거직후부터 국세청등의 협조를 받아 선거비용실사를 벌여왔으며 고발및 수사의뢰등의 조치를 6일까지 매듭지을 방침이다.또한여야에 또다른 공천헌금 수수가 있었는지에 대한 내사도 진행중인것으로 전해졌다.그러나 공천헌금부분문제가 공식수사로 까지 이어질지에 대한 결정은 내려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金敎俊.崔熒奎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