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군사 대응” … 당국자 대화·통행 사실상 중단 선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북한 당국은 3일 단거리 미사일 발사 등 최근 잇따른 북측의 ‘긴장조성 행위’에 대해 유감을 표시한 남측의 전화통지문 수용을 거부하고 “군사적 대응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북한은 이날 오전 9시25분쯤 남북 장성급회담 북측 단장(김영철 중장) 명의로 된 답신 전통문을 통해 “남측의 어제 (전통문을 통해 밝힌)입장은 한갓 변명에 지나지 않는다”면서 “이미 천명한 대로 해당한 군사적 대응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고 국방부는 전했다.

이어 북한 관영매체인 조선중앙통신은 남측에 답신을 보낸 사실을 공개하면서 “남조선 군 당국은 모든 북남 대화와 접촉이 중지되고 통행 차단 조치가 취해지게 된 책임에서 절대로 벗어나지 못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남측 당국자의 방북은 물론 남북 당국 간 대화의 중단을 선언한 것으로 해석된다. 북한은 지난달 29일 남측에 전통문을 보내 김태영 합창의장의 ‘북 핵기지 타격’ 발언에 대한 사과를 요구하며 발언을 취소하지 않으면 남북 대화를 중단하겠다고 경고했었다. 이에 대해 국방부 관계자는 “2일 보낸 답신 전통문에서 우리의 입장을 충분히 밝혔기 때문에 추가 조치는 취하지 않을 것”이라며 “북한군 동향을 예의주시 중이지만 특이 동향은 아직 없다”고 말했다.

이와 별도로 북한 해군사령부는 “남측 해군이 이날 오전 11시45분께 황해남도 강령군 쌍교리 동남쪽 북한 영해에 깊이 3척의 전투함선을 들여보내 북한 영해를 침입했다”고 주장하며 “이 수역에 전투함선들을 계속 들이밀면 예상 외의 대응 조치가 따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북한군이 주장한 영해는 2003년 일방적으로 선포한 해상분계선의 북쪽 해역으로 백령도와 연평도 등 휴전 이후 남측 해군이 관할해 온 곳이다.

한편 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김 합참의장의 발언은 국회의원이 물으니까 당연히 한 것으로, 그 정도 선에서 일반적인 대답”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른 의미가 없는 대답을 갖고 (북한이 긴장을 조성하고)그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새 정부는 진정성을 갖고 대화하자는 관점이고 그러려면 북한도 이제까지 해 오던 방식에서 조금 벗어나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또 “북한이 긴장감을 불러일으키는 사태가 있었으나 저는 더 이상 악화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민석 군사전문기자, 최상연 기자

▶[중앙NEWS6] MB 정부의 달라진 대북 자세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