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ve Earth Save Us] 에너지 절약 건물에 ‘보너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 벽면에 설치하는 유리 면적을 제한하는 ‘벽면율 상한제’가 이르면 3월 도입된다. 아파트 같은 주거용 건물의 무분별한 야간 경관 조명을 막기 위해 조명 범위를 건물명과 건물 로고에 한정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오세훈(사진) 서울시장은 9일(현지시간) 스위스 취리히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이런 계획을 소개했다. 그는 3~10일 해외 도시 디자인을 돌아보기 위해 독일·스위스 등 유럽 4개국을 방문했다.

오 시장은 “선진 도시에선 디자인이 단순히 외관 업그레이드에 머물지 않고 에너지를 덜 사용하는 친환경으로 발전하는 추세”라며 “초고유가 시대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서울시의 건물 에너지 절약 기준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여름에 빗물을 받아 건물 온도를 낮추는 냉각수 또는 화장실 청소용으로 활용하거나(독일 베를린의 포츠다머 플라자) ▶천장에 자연 채광을 위한 창을 설치하는(오스트리아 글라츠의 쿤스트하우스) 도시를 구체적 사례로 들었다. 그러면서 “해외 선진 도시의 에너지 절약형 건물을 벤치마킹해 서울 시정에 적극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권기범 서울시 건축과장은 “오 시장의 이번 방침은 다음달부터 건축허가를 내줄 때 반영할 계획”이라며 “구체적인 시행 방안을 이달 말까지 마련하겠다”고 설명했다. 이 계획에는 건물 바깥으로 빠져나가는 공기 열을 다시 이용하는 ‘열 회수 환기장치’ 설치를 권장 내지 의무화하는 방안도 들어 있다.

오 시장의 이날 발언은 지난해 8월 시행한 서울시의 ‘친환경 에너지 절약 건축물 설계 가이드라인’을 강화하겠다는 뜻이다.

서울시의 에너지 절약 가이드라인은 서울 시내 모든 공공 건축물에선 의무적으로 따라야 한다. 민간 건축물에선 의무사항은 아니지만 따를 경우 용적률 상향 등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다.

서울시는 에너지 절감 기준을 잘 지키는 신축 민간 건축물에 대해 취득·등록세를 깎아 주거나, 건설사·설계회사에 서울시 사업 참여 시 가산점을 주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유럽연합(EU)은 2010년까지 에너지 22% 절감을 목표로 건물의 에너지 효율등급을 표시하도록 의무화했고, 일본은 단열 기준을 평균 1.6~2배나 강화했다고 서울시는 전했다. 오 시장은 또 “세계 주요 도시들은 지금 ‘디자인 전쟁’을 하고 있다”며 “서울이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선 ‘디자인이 모든 것’이란 각오로 뛰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오스트리아 빈에선 쓰레기 소각장이란 혐오 시설에 디자인을 가미해 시민들이 즐기는 공간으로 만들었다”며 “서울도 소각장의 외관에 디자인 개념을 가미해 바꿔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취리히(스위스)=성시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