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중에 북핵설득 요청/안보리 내일 대응방안 논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미 합참의장 대북 예방폭격 가능성 시사
정부는 핵문제가 북한의 교체연료 추후계측 보장에 대한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요구를 거부함에 따라 긴박한 국면으로 전개되고 있는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중국에 북한 설득을 요청하는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한 외교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북한 핵문제는 북한­IAEA간 협상이 실패함에 따라 유엔이 31일 안보리를 열어 이 문제를 논의하고 IAEA도 다음달 6∼8일의 이사회에서 최종판단을 할 계획이어서 외교적 해결이냐,제재냐 하는 긴박한 선택의 상황으로 접어들고 있다.
정부는 유일하게 북한과 실질적인 대화채널을 가지고 있는 중국에 북한을 설득해주도록 요청했으며 북한이 곧 북한­미 실무접촉을 요청해올 것으로 보고 이 자리에서 북한이 IAEA의 요구를 받아들이도록 설득키로 미국과 합의했다.
정부의 한 당국자는 『정부는 연료봉 교체문제에 대해 IAEA가 요구하는 연료봉 추후계측 가능성이 보장돼야 북한­미 고위급회담을 개최한다고 확고한 원칙아래 앞으로 일어나는 상황에 대처해 나갈 것』이라고 밝히고 『그러나 IAEA가 아직 연료봉 추후계측 가능성이 상실됐다고 결론짓기 않았으므로 남은 시간동안 북한을 설득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당국자들은 안보리에서 다시 북한 핵문제가 본격 거론될 경우 경고·외교적 제재·경제적 제재결의안이 잇따라 채택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중국은 과거와 달리 대북한 제재에 적극적으로 반대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교체연료 추후계측 협상에 실패한 북한과 IAEA는 30일 그 책임이 상대에 있다고 비난하고 있는 가운데 IAEA는 북한­미 일괄타결후 보관연료를 계측하자는 북한측의 제의를 일축했다.
미국에선 강경론이 다시 대두하고 있다.
존 샬리카시빌리 미 합참의장은 북한핵이 군사적 충돌이 아닌 외교적 방법으로 해결되어야 하지만 판단착오로 군사행동을 감행할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하고 대북 예방폭격 등 어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샘 넌 미 상원 군사위원장은 핵폐기물처리시설을 파괴함으로써 더이상의 플루토늄 추출을 막을 수 있다며 대북 예방폭격 가능성을 시사했다. 뉴욕타임스도 북한 핵개발 저지가 거의 붕괴직전에 있다고 지적하고 외교적 해결을 추구해온 미 국무부가 유엔제재를 고려하고 있는 것은 중요한 정책전환이라고 말했다.<워싱턴·베를린·서울=진창욱­유재식특파원·강영진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