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 부정 고발 전화 (725)1400 돌리세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공선협,금권감시에 주력키로
『선거부정 고발은 (725)1400번으로』­.
14대 대통령선거 공고가 1주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서울 YMCA 시민중계실에 설치된 공명선거실천시민운동협의회」(공선협·상임공동대표 송월주) 선거부정고발센터 전화도 바빠졌다. 14대 총선당시 대국민 공명선거 캠페인으로 큰 호응을 얻었던 공선협의 부정감시활동이 본격 개시된 것이다. 당초 관권개입 근절이 공명선거 실현의 성패를 좌우하는 최대 관건이라고 판단했던 공선협은 대통령의 당적 이탈,중립선거내각 등장,군·검·경·안기부 등의 잇따른 중립선언 등 상황변화에 따라 관권보다 우리 선거의 또다른 고질인 「금권」이 문제라고 보고 그 감시에 활동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9일 고발전화 개설후 12일까지 접수된 30여건의 불법선거운동 사례도 당원모집을 위한 금품살포·선심행사 등 「금권」 관련이 대다수다. 공선협은 선거공고후 각 후보 진영의 선거전이 가열되면 이같은 불법 금권선거운동이 더욱 기승을 부릴 것으로 보고 선거일 공고 다음날인 21일부터 전국 동시다발로 공명선거 캠페인의 본격 출발을 알리는 가두홍보전을 전개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공선협은 총선과정에서 결성된 전국 39개 지역 공선협을 57개로 확대 재정비하고 홍보용 스티커 5백만장·배지 30만개·기타 홍보전단 등의 배포에 나섰다. 공선협은 또 학생·노동자·종교단체 등의 자발적 참여가 공명선거 실천을 범국민적 운동으로 승화시킬 수 있는 열쇠라고 판단,각 대학 동아리연합회에 동참 촉구 서한을 보냈다. 또한 노동자들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25일 노조 간부 5백여명을 초청,노조지도자 공명선거 다짐의 밤」을 개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최근의 정국변화를 관권선거 풍토 근절의 계기로 삼기 위해 선거 공고일을 전후해 시장·지역선관위장·각 정당 지구당위원장 등 관계자들을 초청,「관권 개입 근절 결의 시민잔치」를 전국적으로 개최할 계획도 세워두고 있다.<이훈범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