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 노-사 다시 "갈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시내버스업계가 정부 강요 등으로 과다하게 인상된 임금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두 달째 인상 분 지급을 미루고 있어 분규가 재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8일 교통부에 따르면 2월 28일 임금인상 19·65%에 합의한 서울·인천·대전·광주·대구·부산 등 6대 도시 중 서울을 제외한 5개 도시에서는 각 지부와 노조사이에 합의한 임금인상에 가조인만 된 상태에서 업자들이『임금협상 위임 권을 벗어난 과다한 인상에 합의한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반발, 정식조인을 못하고 있다.
대구에서는 업자들이 지부 집행부를 불신임할 움직임까지 보여 지부장이 사임하는 등 진통을 겪고있으며 노조 측에서도 일단은 올해 임금인상에서 성공한 만큼 4월 한 달까지는 업주들의 움직임을 지켜본 뒤 인상 분에 대한 소급지급이 되지 않을 경우 강력 대응키로 했다.
그러나 6대 도시 시내버스업자들은 임금협상 당시 부산 등 일부 지역에서 업자들에 대해서는 정부측이 노조의 인상안을 받아들이도록 강요했으면서도 운행거부 등 파업을 한 노조의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총선을 의식해 처벌을 하지 않은데 강한 불만을 보이고 임금인상률을 재조정하도록 요구하는 등 불복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업자들의 움직임은 올해 차량부품대금 등 운송원가는 대폭 인상된 반면 요금인상은 당초 업자들이 마지노 선으로 제시했던 2백30원에 크게 못 미친 데다 임금인상이 정부에 의해 강압적으로 타결된 데 대한불만이 깔려 있어 쉽게 결말이 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교통부는 업자들에게 4월말까지 인상임금을 지급하도록 촉구했으나 이를 업자들이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강제수단이 마땅치 않아 고심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