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학교 한자교육/또 불붙은 논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불편한 글자 굳이 왜쓰나 반/신문못읽는 반문맹 키워 찬/4개 교육단체·한글학회,교육부에 찬반건의
국민학교 한자교육에 대한 논란이 재연되고 있다.
한국어문교육연구회·한국국어교육연구회·한국국어교육학회·한자교육진흥회 등은 최근 6차 교육과정 개편과 관련,2백15개 사회유관단체들과 연명으로 한자교육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국교부터 한자교육을 해야 한다는 내용의 건의문을 교육부에 제출했다.
또 안병욱 흥사단 이사장·임원택 정신문화연구원 교수·유정기 전 충남대교수 등 3명은 11일 국교교과서에 한글만 쓰도록 한 정부의 조치는 위헌이라며 헌법소원을 헌법재판소에 냈다.
이에 대해 한글학회는 13일 우리의 생각이나 말과는 전혀 구조가 다른 한자를 국교때부터 교육을 시킨다면 우리교육은 걷잡을 수 없는 혼란에 빠질 것이라며 국교 한자교육을 반대하는 건의문을 교육부에 냈다.
한자조기교육을 주장하는 한국어문교육연구회 등 단체들은 우리말의 70%가 한자로 돼있는 만큼 한자를 모르고는 국어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들은 70년이후 한자·한문교육에 대한 정부의 거듭된 시행착오는 한자에 대한 반문맹을 양산,대학을 졸업하고도 신문을 제대로 못읽는 결과를 낳고 있다고 지적하고 한자교육은 국어교육의 일환으로 국교부터 단계적으로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한글학회는 이같은 한자조기교육주장에 대해 『한자는 가장 원시적이고 사용하기 불편한 글자』라며 『우리말을 완벽하게 적을 수 있는 글자는 한글뿐』이라고 주장했다.
한글학회는 또 『대학을 졸업하고도 신문을 제대로 못읽는다는 것은 중·고교에서 한자·한문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와 교육부의 책임일뿐 이것이 한자조기교육의 이유가 될 수는 없다』고 반박했다.
한글학회는 『국민학교는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이 아니라 민주시민을 기르는 국민보통 교육기관인만큼 「국어」교육에 집중해야 하고 한자·한문교육은 중·고등학교 이상에서 실시하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