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 파국 막을 해결사 ?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당의 향후 진로를 놓고 내홍을 겪고 있는 열린우리당에서 최근 가장 주목받는 사람은 정세균(사진) 산업자원부 장관이다. 연말 연초 부분 개각이 예상되면서다.

정 장관의 당 복귀는 굳어지는 분위기다. 정 장관 자신도 복귀 의사를 밝혔다. 그는 최근 기자에게 "내각에 들어올 때부터 1년 정도 할 생각이었다. (국회에서) 예산안이 통과되면 당으로 돌아가겠다"고 말했다.

여권 내 관심이 정 장관으로 쏠리는 건 그의 역할론 때문이다. 그는 현재 여권의 반목과 갈등을 조정할 수 있는 적임자란 평가를 받고 있다.

통합신당파도 친노파도 그에겐 우호적이다. 의장대행 시절 당을 안정적으로 이끌었다는 평가도 받는다.

2월 전당대회에서 의장설이 나오는 것도 그래서다. 당 핵심 인사는 "정 장관은 정계개편과 대선 후보 선출을 관리할 차기 당 의장에 가장 적합한 인물"이라고 말했다. 당내에선 2월 전당대회에서 경선이 아닌 추대 형식으로 정 장관을 의장에 앉히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통합신당파도, 친노파도 이 방안엔 긍정적이다. 문제는 그 이후다. 과연 정 장관이 통합신당파와 친노파의 충돌을 어떻게 관리해 나갈 것이냐다.

양측 모두 정 장관이 서로의 입장을 관철시키는 데 유리할 것이라고 보고 있는 상황에서 그가 접점을 찾기란 쉽지 않기 때문이다.

통합신당파는 정 장관에게 통합신당 작업의 선봉에 서줄 것을 주문할 게 뻔하다. 친노파는 전당대회 후 정 장관 체제에서 본격적인 정계개편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이와 관련, 정 장관 측 관계자는 "정 장관은 일단 통합신당파든 친노파든 같이 가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김정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