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D램 기술력 초격차 가속…업계 최초 LPDDR5X 개발

중앙일보

입력

삼성전자가 업계 최초로 개발한 LPDDR5X [사진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업계 최초로 개발한 LPDDR5X [사진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업계 최초로 ‘LPDDR5X’를 개발하며 모바일 D램 시장에서 초격차 전략을 재확인했다. LPDDR은 모바일 기기 등에 쓰이는 저전력 D램이다. 앞서 삼성전자는 2018년 세계 최초로 8Gb LPDDR5 D램을 개발한 바 있다.

9일 삼성전자는 업계에서 처음으로 LPDDR5X(Low Power Double Data Rate 5X)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제품은 현존하는 모바일 D램 중 가장 빠른 최대 8.5Gbps 속도를 구현한다. 이전 세대 제품인 LPDDR5의 동작속도(6.4Gbps)보다 1.3배 빠르다.

특히 삼성전자는 이번 제품에 업계 최선단인 14나노 공정을 적용해 기존 제품 대비 소비전력 효율을 약 20% 개선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이번 14나노 LPDDR5X는 5G, 인공지능(AI), 메타버스 등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미래 첨단 산업에 최적화된 메모리 솔루션”이라고 설명했다.

글로벌 모바일 D램 시장 점유율 추이 [옴디아]

글로벌 모바일 D램 시장 점유율 추이 [옴디아]

삼성전자는 기술 초격차를 유지하기 위해 향후 모바일 D램 단일 패키지 용량을 최대 64GB까지 확대해 5G 시대 고용량 D램 수요에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이번에 개발한 LPDDR5X 단일칩 용량은 16Gb다. 또한 삼성전자는 올해 말부터 글로벌 IT 고객과의 기술 협력을 강화해 고객의 차세대 기술에 대한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신규 라인업으로 빠르게 전환해 나갈 예정이다.

황상준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D램설계팀 전무는 “최근 증강현실, 메타버스, AI 등 고속으로 대용량의 데이터 처리가 필요한 첨단 산업이 확대되고 있다”며 “삼성전자는 이번 LPDDR5X를 통해 모바일 시장뿐만 아니라 서버, 오토모티브 시장까지 고성능 저전력 메모리 수요를 창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시장에선 삼성전자가 모바일 D램 기술 리더십을 더욱 확고히 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시장조사업체인 옴디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올해 2분기 전 세계 모바일 D램 시장에서 점유율 55%로 SK하이닉스(25%), 마이크론(19%)과 2~3배 격차를 유지했다. 업계 관계자는 “차세대 산업에서는 언제 어디서든 대용량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고성능, 저전력, 대용량의 D램 수요는 계속해서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