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은 어떤 대책을 세우고 있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우리의 경우도 전력수요의 급증을 막고 오는 92∼93년 우려되는 전력부족사태에 대비하기위한 방안으로 전력수요관리가 새로운 과제로 되고있다.
최근 3년간(87∼89년)국내전력 소비량은 연평균13·4%의 높은 증가세를 보이고있고 반면그간의 발전소건설지연과 부지확보난등으로 이제 전력수급불안은 만만치않은 문제로 부각돼있는 상황이다.
한전은 이에따라 당장 올해부터 전력수요절감 목표를 11만1천㎾(당초계획 3만6천㎾)로 늘러잡고 내년에는 이를 다시 79만8천㎾로 늘리는등 수요관리 비상대책에 나서고있다.
5천㎾이상의 대량수용가들을 대상으로 전력수요가 몰리는 7, 8월중에 계약에 따라 필요시전력공급을 중단하고 요금을 낮춰주는 여름철 수급조정 요금제와 산업용(갑) 및 업무용 전력사용에 대해 6∼8월중에는 7%, 10%씩 비싼 요금을 매기는 계절차등 요금제가 이미 지난봄부터 시행되고있다.
또 시간대나 계절에 따라 차등요금을 적용하는 피크타임요금제(산업용대상)나 여름철에 일시 휴가실시등으로 전력사용을 50%이상 줄일 때 주는 요금할인제, 싼 심야전력요금제등 기존의 수급조정 요금제들도 대폰 확대할 방침이다.
그러나 차등요금만을 수단으로 하고있는 한전의 이같은 수급조정책은 가격효과에만 치우쳐 근원적인 수요절감책으로 미흡할 뿐아니라 점차 비중이 커지고 있는 가정·상업부문의 수요관리가 결여돼있다는 지적을 받고있다.
이점에서 당장의 위기관리차원에서, 더 나아가 막대한 발전소건설투자로 인한 국민경제적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한전자체의 지속적이고 다양한 수요절감 투자가 이뤄져야한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