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지] NPT 탈퇴에서 핵실험까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다음은 북한의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 선언에서부터 핵실험 강행까지의 상황을 시간순으로 정리한 것이다.

▲ 1993년- 북한 NPT 탈퇴 선언, 이후 철회

▲ 1994년- 북-미, 스위스 제네바에서 쌍무회담을 갖고 북한의 핵무기 개발 포기와 대북 경수로 제공 등에 합의

▲ 1999년 9월17일-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 1953년 한국전쟁 종전 이후 처음으로 대북 제재 완화 선언

▲ 2000년 7월- 북한, 경수로 사업 지연으로 인한 전력 부족분을 미국이 메꿔주지 못할 경우, 핵무기 개발 재추진하겠다고 주장

▲ 2001년 6월- 미 국무부,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개발 완료 발표

▲ 2001년 12월-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 "북한과 이라크가 대량살상무기(WMD) 개발할 경우, 응당의 댓가 치르게 될 것"

▲ 2002년 1월29일- 부시 대통령, 북한을 이란, 이라크 등과 함께 '악의 축'으로 규정

▲ 2002년 10월4일- 미 정부, "북한이 방북 미국 특사에게 두번째 비밀 핵무기 개발 계획이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 2002년 11월11일- 한국-일본, 경수로 사업 지연 따라 북한의 전력 부족 현상 해소 위해 석유 제공 약속

▲ 2003년 1월10일- 북한, NPT 탈퇴 선언

▲ 2003년 4월16일- 미국-중국-북한 정부 관계자, 베이징에서 만나 답보 상태의 북핵 문제 돌파구 마련 위해 6자회담 개최 합의

▲ 2003년 4월24일- 북한, 핵무기 보유 선언. 미국의 위협에 대응해 핵 실험, 핵기술 수출, 핵 사용 가능 주장

▲ 2003년 8월27 ̄29일- 1차 북핵 6자회담. 한국, 북한,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참가

▲ 2004년 2월25 ̄28일- 2차 6자회담

▲ 2004년 6월23 ̄26일- 3차 6자회담

▲ 2004년 9월- 북한, 미국의 적대행위 문제 삼아 4차 6자회담 참석 거부

▲ 2005년 2월10일- 북한, 핵무기 보유 발표

▲ 2005년 7월26일- 4차 6자회담, 13일간 진행 후 일시 중단

▲ 2005년 9월13일- 4차 회담 재개

▲ 2005년 9월15일- 미국, 돈세탁 이용 혐의 주장하며 마카우 방코델타아시아(BDA)의 북한 계좌 동결

▲ 2005년 9월19일- 9.19 공동성명. 북한, "에너지 지원 있으면 핵무기 계획 포기하겠다", 미국, "대북 군사행동 취하지 않겠다"

▲ 2005년 11월9 ̄11일- 5차 6자회담

▲ 2006년 1월3일- 북한, "미국의 대북 금융제재 철폐 이전 6자회담 복귀하지 않겠다" 선언

▲ 2006년 3월7일- 북-미 정부 대표, 뉴욕서 대북 금융제재 논의

▲ 2006년 7월5일- 북한, 미사일 시험 발사

▲ 2006년 9월26일- 북한, "세계 지배 꿈꾸는 미국과의 핵 협상 불가"

▲ 2006년 10월3일- 북한, "미국의 위협에 대응, 핵실험 실시하겠다"

▲ 2006년 10월9일- 북한, 함경북도 화대군 무수단리에서 최초의 지하 핵실험 실시

【서울=AP/뉴시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