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한국 경제 -1.0% 뒷걸음질…98년 외환위기 이후 22년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127명 무더기로 발생해 초비상이 걸린 25일 오후 대전 중구 종교단체 소속 비인가 시설(IEM국제학교)에서 경찰들이 학생들을 충남 아산 생활치료센터 입소시키기위해 학교주변을 통제하고 있다.김성태/2021.01.25.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127명 무더기로 발생해 초비상이 걸린 25일 오후 대전 중구 종교단체 소속 비인가 시설(IEM국제학교)에서 경찰들이 학생들을 충남 아산 생활치료센터 입소시키기위해 학교주변을 통제하고 있다.김성태/2021.01.25.

 지난해 한국 경제가 -1.0%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에 뒷걸음질쳤다.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2020년 4분기 및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에 따르면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1.0%(전년동기대비) 였다.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5.1%) 이후 22년만의 최저치다. 전망치(-1.1%)보다는 0.1%포인트 나아진 수치다.

 한국 경제가 마이너스 성장을 한 것은 지난해가 세 번째다. 석유파동이 있었던 1980년(-1.6%)과 1998년 이후 세 번째 역성장이다.

 마이너스에 머물렀지만 나름 선방하며 낙폭을 줄인 것은 정부의 힘이다. 소비 등의 부진 속에 민간(-2.0%포인트)이 까먹은 성장률을 정부(1.0%포인트)가 메우며 충격을 줄였기 때문이다. 4차례에 걸쳐 66조8000억원의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편성하는 등 정부가 씀씀이를 늘리며 충격을 완화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코로나19의 확산 세를 막기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영향으로 경제 활동에 제동이 걸리면서 소비 위축 등이 이어지며 내수(-1.4%포인트)가 성장률을 갉아먹었다. 그나마 반도체 등을 중심으로 한 수출(0.4%포인트)이 개선세를 보이며 당초 전망치보다 조금 나은 성적표를 받아들이게 됐다.

 얼어붙은 소비는 수치로 확인됐다. 민간소비(-5.0%)는 마이너스로 돌아서며 1998년(-11.9%)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정부소비(5.0%)는 증가세를 이어갔지만 전년도(6.6%)보다 증가폭은 줄었다. 설비투자(6.8%)는 2019년(-7.5%)의 역성장을 털어내고 플러스로 전환했다. 건설투자(-0.1%)의 경우 감소세는 계속됐지만 감소 폭은 줄었다.

 지난해 수출(-2.5%)은 뒷걸음질 치며 마이너스 영역에 발을 들였다. 수치는 1989년(-3.7%) 이후 최저치다. 수입(-3.8%)은 2019년에 이어 감소세를 이어갔다. 업종별로는 전기가스수도업(6.1%)을 제외하고 다른 부분은 모두 마이너스 성장을 이어갔다.

 지난해 경제성장률이 1% 역성장에 그친 것은 지난해 4분기의 선방 덕이다. 지난해 4분기 성장률은 1.1%(전분기 대비)를 기록했다. 지난해 2분기(-3.2%)의 충격을 털고 반등한 3분기(2.1%)에 이어 플러스 성장을 이어갔다.

 지난해 4분기 민간소비(-1.7%)와 정부소비(-0.4%)가 모두 감소세를 이어갔지만 건설투자(6.5%)와 함께 반도체와 화학제품 중심으로 수출(5.2%)이 늘어난 영향이다.

 하현옥 기자 hyunoc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