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급식 책임자 실명제로

중앙일보

입력

이달 말까지 전국의 모든 초.중.고교에 '학교 급식 실명제도'가 도입된다. 학교장이 영양.위생관리 책임자를 지정하고, 학교 조리실 출입구 또는 식당 배식구 근처 등에 이들의 사진과 이름을 부착케 한다.

이미 대학이나 기업 등에서 실시해온 급식 실명제가 초.중.고교에서는 집단 식중독 사고를 계기로 뒤늦게 시행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일선 학교는 매일 급식 위생.안전 점검을 반드시 해야 한다.

또 일용직인 영양사를 정규직으로 바꾸는 방안이 단계적으로 추진된다.

교육인적자원부는 1일 최근 서울.인천.경기지역 학교의 집단 식중독으로 학교 급식에 대한 우려가 커짐에 따라 '학교 급식 위생관리 보완대책'을 마련, 전국 시.도교육청에 최근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학교장이 지정하는 영양.위생관리 책임자는 직영 급식의 경우 영양사 한 명으로 하되 위탁급식의 경우에는 업체 영양사와 학교장이 지정한 교직원 등 2명으로 하도록 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실명제가 위생과 안전성에 대한 급식 담당자들의 책임감을 높여 학교 급식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달 말까지는 모든 학교가 실명제를 도입하도록 권장할 것"이라고 했다.

또 학교 직영급식과 위탁급식 모두 ▶급식 담당자의 개인 위생상태▶원료.조리가공 식품 상태▶조리.가공 설비 및 시설의 위생 등을 매일 점검, 결과와 시정조치를 기록하는 '학교 급식 일일 위생.안전점검'이 의무화된다.

한편 교육부는 학교 급식을 담당하는 영양사 가운데 2천여명(28%)에 이르는 일용직 영양사를 내년까지 정규직으로 바꾸는 방안을 추진할 방침이다. 1998년 이후 학교 급식이 크게 늘었으나 공무원 정원 감축 등으로 학교 급식 전담직원인 영양사의 정원은 거의 늘지 않아 문제로 지적돼 왔다.

이 밖에 노후 급식시설 현대화를 위해 2백개 시범학교를 선정해 모두 2백억원을 지원하는 사업을 추진하는 방안과 학부모의 학교 급식 참여를 활성화하는 방안 등을 검토할 예정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