꽉 끼는 신발 티눈 발생할 수 있다

중앙일보

입력

김모양(19세)은 어엿한 대학생이 됐다. 힘들고 어렵게 공부를 해 서울의 명문대에 합격한 것이다.

김양은 이제 멋도 내고 남자친구도 사귀고 싶어한다. 고등학교 시절 편한 운동화만 신다가 대학에 들어와 굽이 높고 모양이 예쁜 볼좁은 구두를 사 신었다.

그런 얼마후 김양의 발에 문제가 생겼다. 오른쪽 새끼 발가락 가에 둥근 모양의 티눈이 생겨 때로는 매우 아프며 오래 걷기조차 힘들어진 것이다.


이처럼 티눈은 피부 상피에 반복적으로 자극이 가해져서 발생하는 것으로 지속적인 압박, 마찰, 부적합한 신발 등에 의해 생긴다.

잘 맞지 않는 신발, 꽉 끼는 신발등으로 많이 생겨

어느 특정 부위의 집중적인 자극의 정도에 따라 병변의 심각 여부가 결정되며 티눈의 핵이 형성되는 것은 과각화 중심부에 혈관의 변화와 섬유화에 의해 이루어진다.

티눈이 잘 발생하는 부위는 다섯 번째 발가락의 바깥쪽에 가장 많이 생기고, 네 번째 발가락 사이에도 생기며, 그 외 발가락 어느 부위에든 생길 수 있다.

티눈이 생기는 원인으로는 잘 맞지 않는 신발, 꽉 끼는 신발을 신었을 때 압박으로 인해 생기며, 발가락 뼈 구조상 서로 눌러 생기기도 한다.

직업과 관련이 되어서는 노동하는 사람이나 스포츠로 인해 손바닥에 생기며, 바이올린 연주자의 손가락에도 흔히 생긴다.

압박을 가할 때 칼로 찌르는 듯한 심한 통증이 특징

티눈의 증상은 압박을 가할 때 칼로 찌르는 듯한 심한 통증이 특징적이다. 티눈은 경계가 뚜렷하고 과각화되어 굳어 있으며, 중심부에 투명한 부위를 갖고 있다.

발바닥의 티눈은 발바닥 사마귀와 감별 진단하여야 하는데, 발바닥 사마귀는 다발성이 많으며 중심부에 적색 흑색의 점이 보이며 경계가 불분명하다.

티눈을 제거하려면?

티눈을 제거하는 방법은 몇가지가 있는데, 간단하게는 40% Salicylic Acid Plaster를 수일간 병변에 붙여 놔두고 떼어낸 후 물에 불려 허옇게 연화된 부분을 No15 Blade나 File을 이용하여 제거한다.

이 때 중심부에 쐐기 모양의 티눈핵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으면 증상이 다시 재발된다.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티눈에 부신피질 호르몬 주사를 맞아 통증을 줄일 수 있다.

최종적으로 완전한 치료는 티눈 부위를 부분 마취하여 이산화탄소 레이저나 전기소작기로 티눈핵까지 태워 없애는 방법이다. 상처가 자생되어 아무는데 걸리는 기간은 2~3주 정도가 소요된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발에 꽉 끼는 신발을 신지 않는 등 예방에 힘써야 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