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은 파 4홀서 1온 시도…통계시스템 바꾼 디섐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6면

브라이슨 디섐보. [AFP=연합뉴스]

브라이슨 디섐보. [AFP=연합뉴스]

근육 20㎏을 불린 뒤 미국 프로골프(PGA) 투어에서 우승한 ‘헐크’ 브라이슨 디섐보(27·미국·사진)가 PGA 투어 통계시스템도 부쉈다고 미국 골프채널이 7일 보도했다.

‘어프로치샷 꼴찌’ 후폭풍

디섐보는 6일 끝난 로켓 모기지 클래식에서 최종라운드 평균 360야드, 대회 평균 350야드의 드라이브샷 거리를 기록했다. 2005년 타이거 우즈가 기록한 341야드를 넘는 역대 최고 기록이다. 디섐보는 PGA 투어 샷링크(샷 통계 시스템)의 여러 기록도 깼다. 드라이버로 얻은 타수 1등과 퍼트로 얻은 타수 1등을 동시에 한 첫 선수다.

하지만 디섐보의 어프로치샷 기록은 꼴찌다. 컷 통과 70명 중 70위다. 엄청난 장타를 때리고, 퍼트 등 쇼트 게임 능력까지 뛰어난데, 어떻게 그런 결과가 나왔을까. 한국에서는 어프로치샷이 그린 주위 쇼트 게임으로 인식된다. 그러나 미국 등지에서는 그린을 보고 쏘는 샷을 가리킨다. PGA 투어에서 아이언샷은 대개 어프로치샷이다. 파 5홀에서 우드로 그린을 겨냥해 두 번째 샷을 한다면 이 역시 어프로치샷이다.

PGA 투어 샷링크 시스템은, 그린 주위 30야드 이내에 떨어진 공은 그린을 향해 친 어프로치샷으로 인식한다. 디섐보는 이번 대회 짧은 파 4홀에서 여러 차례 그린을 목표로 티샷했다. 그린 주위에 떨어진 공이 많았다. 물론 가까운 곳에서 아이언으로 친 샷만큼 정교하지는 않았다. 샷링크는 디섐보의 티샷을 어프로치샷으로 간주했다. 꼴찌가 된 이유다. PGA 투어는 디섐보가 파 4홀에서 자주 1온을 시도한 만큼, 이러한 변화에 맞게 통계 시스템을 개선하겠다고 했다.

성호준 골프전문기자 sung.hoj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