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4개월짜리 임기에 반발···비대위원장 사실상 거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미래통합당이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출범 여부를 결정하는 28일 오후 김종인 전 미래통합당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이 서울 광화문 자신의 사무실에서 나오고 있다. 통합당은 이날 오후 2시 상임전국위원회를, 오후 3시에 전국위원회를 잇따라 열고 '김종인 비대위' 구성 의결을 시도한다. 뉴스1

미래통합당이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출범 여부를 결정하는 28일 오후 김종인 전 미래통합당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이 서울 광화문 자신의 사무실에서 나오고 있다. 통합당은 이날 오후 2시 상임전국위원회를, 오후 3시에 전국위원회를 잇따라 열고 '김종인 비대위' 구성 의결을 시도한다. 뉴스1

미래통합당이 28일 전국위원회를 열어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를 가결했지만, 김종인 비대위원장 내정자는 이를 수용하지 않았다.

김 전 위원장의 최측근 최명길 전 의원은 이날 전국위에서 비대위 안건이 가결된 직후 “김종인 대표께서는 오늘 통합당 전국위에서 이뤄진 결정을 비대위원장 추대로 생각하지 않습니다”라고 입장문을 발표했다.

최 전 의원은 “8월 31까지 ‘관리형 비대위원장을 하느냐 마느냐’만 남은 상황인데, 그건 안 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통합당 전국위가 이날 오후 ‘김종인 비대위’ 임명안을 의결했지만, 상임전국위원회(상전위) 무산으로 당헌 개정이 불발되면서 임기가 오는 8월 31일까지 4개월에 그친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김 내정자는 앞서 비대위원장직 제안을 받아들이면서 심재철 원내대표 겸 대표 권한대행에게 “2022년 3월 대선 1년 전까지인 내년 3월까지는 대선 승리의 준비를 마치고 떠나겠다”고 했다.

그러나 당헌 개정이 이뤄지지 않은 채 의결된 4개월짜리 비대위원장직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게 김 내정자의 입장이다.

심재철 권한대행은 김 내정자가 취임 이후 당헌 개정을 다시 추진해 임기 제한을 삭제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김 내정자는 자신의 임기를 스스로 늘리는 모양새에도 강한 거부감을 드러낸 것으로 알려졌다.

배재성 기자 hongdoy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