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무역 규모 반토막”…코트라 ‘2018 북한 대외무역동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북한 인공기. [평양사진공동취재단]

북한 인공기. [평양사진공동취재단]

 지난해 북한의 대외무역 규모가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19일 발표한 ‘2018년도 북한 대외무역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남한과 북한 사이의 교역을 제외한 북한의 무역 규모는 2017년과 비교해 48.8% 감소한 28억4000만 달러(한화 약 3조3500억원)로 집계됐다. 북한의 무역 규모가 줄어든 건 2017년에 이어 2년째다.

 북한은 수출과 수입 모두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은 전년 대비 86.3%가 줄어 2억4000만 달러(한화 약 2800억원), 수입은 전년 대비 31.2%가 감소한 26억 달러(한화 약 3조원)를 기록했다. 무역 적자는 23억6000만 달러(한화 약 2조8000억원)로 전년(20억1000만 달러)보다 17.5% 증가했다.

 코트라는 북한의 교역량이 감소한 원인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결의안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2017년 8월부터 시행된 결의안 2371호는 유엔 회원국의 북한산 석탄·철광석·수산물 등의 수입을 금지하고 있다. 같은 해 9월부터 시행된 2375호를 통해 유엔은 북한산 직물 및 의류 완제품의 수입도 막았다.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북한의 무역 규모가 크게 줄어들면서 북한과 중국의 교역량도 전년도의 절반 수준으로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과 중국의 무역 규모는 2018년 27억2000만 달러(한화 약 3조2000억원)로 2017년 52억6000만 달러(한화 약 6조2000억원)보다 48.2% 감소했다.

 중국에 대한 무역의존도는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 북한이 중국을 상대로 하는 무역이 전체 대외 무역에서 무려 95.8%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북한의 상위 교역국으로는 중국에 이어 러시아·인도·파키스탄 등의 나라가 이름을 올렸다.

 유엔 안보리 결의안으로 금지 품목이 늘어나면서 북한에 수출입 되는 품목도 변화했다. 제재 대상 품목인 광물성 연료(원유·정제유 등)·의류·수산물 등의 수출은 100% 가까이 줄면서 북한 전체 수출량에도 영향을 미쳤다. 다만 경공업 제품 중 시계 및 부분품의 수출이 1533.7% 증가하기도 했다. 수입품목 중에는 중국으로부터의 비료 수입이 132%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연합뉴스]

 코트라 관계자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체제 출범 이후 북한의 무역 규모는 55∼76억 달러 규모를 유지했으나 2018년 처음으로 30억 달러를 밑도는 결과를 기록했다. 유엔의 대북제재가 북한 무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 다시 확인된 셈”이라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제재 대상 밖에 있는 품목의 수출입이 늘어날 가능성도 있어 무역 규모가 계속 축소될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

임성빈 기자 im.soungb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