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검찰, 이재명 집무실 등 압수수색서 휴대폰 확보못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27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 경기도청 집무실로 들어가며 검찰의 압수수색 관련 입장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27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 경기도청 집무실로 들어가며 검찰의 압수수색 관련 입장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혜경궁 김씨’ 트위터 계정 소유주를 수사 중인 검찰이 27일 이재명 경기지사의 집무실과 자택 등을 압수수색했지만, 핵심 증거품인 스마트폰을 단 한 대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날 오전 이 지사의 집무실과 자택을 압수수색했다. 이번 압수수색은 2013년부터 이 지사의 부인 김혜경씨 앞으로 개통된 휴대전화를 확보하기 위한 차원이었다.

하지만 ‘혜경궁 김씨’ 트위터 계정 소유주를 밝힐 핵심 증거인 김 씨의 휴대전화 확보에 실패하면서 검찰 수사에도 차질을 빚게 됐다.

압수수색 과정에서도 김씨 측은 휴대전화의 행방을 묻는 수사관에 “어디에 있는지 잘 모르겠다”는 취지로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씨는 지난 2013년부터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사용하다 지난 2016년 7월 중순 아이폰으로 교체했다.

그러다 올해 4월 끝자리 ‘44’인 휴대전화 번호가 인터넷에 공개돼 욕설 메시지가 쇄도하자 휴대전화 단말기는 물론 번호까지 교체했다.

기존 아이폰은 ‘이용 정지’로 해놨다가 최근 단말기만 교체한 채 끝자리 ‘44’번은 계속 ‘이용’ 상태로 두고 있다.

수사당국은 이 아이폰에서 올해 4월과 2016년 12월 각각 게시된 전해철 의원과 문준용씨 관련 트윗 글이 작성됐을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이 아이폰의 행방은 묘연한 상태다. 김 씨가 알려진 것만 4대의 휴대전화 단말기를 사용한 점으로 미뤄, 검찰은 김 씨 명의로 된 이 4대의 휴대전화를 찾아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박광수 기자 park.kwangs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