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자, 김정은 체제에서 절반으로 급감…통제강화 원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 5월 2일 서울 중구 명동 주한중국대사관 앞에서 '한반도 인권과 통일을 위한 변호사 모임' 등 북한 인권단체 회원과 탈북자들이 중국내 탈북민 강제송환에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5월 2일 서울 중구 명동 주한중국대사관 앞에서 '한반도 인권과 통일을 위한 변호사 모임' 등 북한 인권단체 회원과 탈북자들이 중국내 탈북민 강제송환에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 3000명에 달했던 국내 입국 탈북민 수가 김정은 체제 이후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인 더불어민주당 박병석 의원이 30일 공개한 통일부 자료에 따르면 2001년 1043명으로 네 자릿수로 진입한 탈북자 수는 김정일 체제 말이던 2009년 2914명으로 3000명에 육박했다.

2010년 2402명, 2011년 2706명으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던 탈북자수는 김정은 체제 시작 이듬해인 2012년 1502명으로 급감했다.

이후 2013년 1514명, 2014년 1397명, 2015년 1275명, 2016년 1418명, 2017년 1127명으로 감소세를 보인다.

올해 8월까지는 집계된 탈북 입국자는 703명으로 전년 동기 779명 대비 9.7%가 줄어든 상태다.

1996년 이후 올 8월까지 한국에 입국한 전체 탈북민 3만2042명의 출신 지역을 분석하면 함경북도지역이 1만9145명(60.7%)으로 가장 많았고, 양강도가 5061명(16.0%), 함경남도가 2775명(8.8%)으로 중국 접경지역이 전체의 85%를 차지했다.

박 의원은 “중국 당국의 강제 북송과 국경 지역의 통제 강화, 브로커 비용 상승 등의 이유로 탈북민 수가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배재성 기자 hongdoy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