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단체 개입 반대' 65% … '미군 철수는 시기상조' 74%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국무조정실이 7일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TNS에 의뢰해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 결과다. 조사는 95% 신뢰수준에 오차 범위는 ±3.1%였다.

응답자의 65.6%는 '주민 생존권을 명분으로 외부단체가 개입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답했다.

외부단체가 시위에 개입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58.1%가 '지역민의 생존권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의도'라고 응답했다. '지역 문제를 넘어선 중요 사안이어서 순수하게 개입했다'고 보는 응답은 34.8%였다.

평택시위의 성격에 대해서도 '주한미군 철수를 위한 정치.이념 투쟁'(60.2%)이라는 시각이 '주민 생존권 보호 투쟁'(34.1%)이라는 생각보다 훨씬 많았다.

하지만 이 시위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지에 대해선 의견이 갈렸다. '정당한 권리 주장이니 평화적 시위는 용인해야 한다'(49.3%)는 의견과 '경찰력을 투입해서라도 빠른 시일 내에 폭력시위를 근절시켜야 한다'(47%)는 의견이 팽팽하게 맞섰다.

시위가 폭력적 형태로 번지는 데 대해서는 반대 의견이 압도적이었다. 응답자의 81.4%가 '어떤 이유든 폭력적 방법으로 해결하려 해서는 안 된다'고 답했다. '필요하면 폭력시위를 해서라도 미군기지 이전은 막아야 한다'는 의견은 17%에 그쳤다.

군의 비무장 소극 대응 방침에 대해서도 불만이 많았다. '정당방어 차원에서 장병 및 군시설 보호대책이 필요하다'는 답변이 65.2%였다. '부상자가 나와도 적극 대응은 자제해야 한다'는 30.1%에 불과했다.

평택시위대는 이번 주말로 예정된 시위를 제2의 5.18 광주민주화운동으로 주장한다. 이에 대해 응답자의 85.7%가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주한미군 철수에 대해서도 '시기 상조'라는 의견이 74.5%로 철수에 '찬성'(22.2%) 하는 의견보다 세 배 이상 많았다.

국무조정실 유종상 기획차장은 "국민이 폭력시위를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며 "평화적 시위는 보장하되 불법 폭력행위는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한 공권력을 행사하라는 주문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최현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