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러시아, 유엔제재에도 북한 노동자에 신규 노동허가증 발행”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WSJ가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에도 북한 노동자의 신규 노동허가증이 발급되고 있다고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사진은 러시아 월드컵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축구경기장 건설 현장. 이 경기장에서 지난 2016년 11월 북한 노동자 1명이 추락사했다. [상트페테르부르크 AP=연합뉴스]

WSJ가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에도 북한 노동자의 신규 노동허가증이 발급되고 있다고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사진은 러시아 월드컵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축구경기장 건설 현장. 이 경기장에서 지난 2016년 11월 북한 노동자 1명이 추락사했다. [상트페테르부르크 AP=연합뉴스]

러시아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대북제재 결의를 어기고 북한 노동자들의 입국과 신규 노동허가증 발급하고 있다고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은 러시아 내무부 등의 자료를 입수했다면서 안보리의 유엔 결의 이후로도 1만명 이상의 새로운 북한 노동자들이 러시아 기업에 노동자로 등록했으며, 특히 올해 들어 북한 노동자에게 최소한 700건의 새로운 노동 허가가 발급됐다고 전했다.

앞서 유엔 안보리는 지난해 9월 11일 채택한 대북 결의 2375호를 통해 북한 노동자에게 신규 노동허가증 발급을 금지하고 기존 계약에 따라 일하는 노동자는 계약 기간 만료 시 이를 연장하지 못하도록 했다.

WSJ은 또 러시아 정부 기록에는 북한 노동자들을 고용하는 일부 기업들은 북한과 합작(조인트 벤처)을 하고 있다면서 이는 명백한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고 지적했다. 지난해 8월 채택된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2371호에는 북한과의 신규 합작투자 금지와 기존 합작투자일 경우 추가 신규투자 금지가 포함돼있기 때문이다. WSJ은 유엔 관리들이 이와 관련한 제재위반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고 전했다.

미 국무부는 최근 몇 년간 약 10만 명의 북한 주민들이 해외에서 일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이 노동 수출로 벌어들이는 돈은 연간 역 20억 달러(약 2조 25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러시아 정부 자료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으로 약 2만4000명의 북한 주민이 공식적으로 러시아에서 일하고 있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