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상봉 취재 '납북 표현' 처리 논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통일부 당국자는 "21일 개별 상봉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행사를 책임진 우리 측 김 단장이 원활한 상봉을 위해 북측에 서면으로 유감을 표명했다"고 말했다. 당시 북측은 남측 방송사의 보도 제작물에 들어간 '납북'이라는 표현을 문제삼아 개별 상봉을 늦췄다.

이에 앞서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23일 "우리는 남측 기자단이 우리를 심히 자극하는 도발 행위를 감행해 나선 데 대해 남측단장이 서면으로 잘못을 인정하고 유감을 표시한 점에 유의하여 2진 상봉도 그대로 진행하기로 하였다"고 주장했다.

이 당국자는 "'잘못'이나 '사과'라는 단어는 북측에 건네준 문건에 들어있지 않다"며 "당시 북측은 기자와 당국의 사죄를 요구했으나 우리는 절대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었고 그에 따라 서면으로 유감을 표명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문건은 정부의 지침을 받은 것으로 우리 측 김 단장 명의로 돼 있다.

이 당국자는 북측이 취재기자의 사죄를 요구한 데 대해 "언론의 자유에 대한 사항이어서 절대로 건드릴 수 없다는 입장을 협의 과정에서 북측에 분명히 전달했다"고 강조했다.

통일부 양창석 홍보관리관은 "이산가족 상봉 행사와 관련해 취재 활동이 제한되고 인도주의적인 상봉 행사가 원만히 진행되지 못한 데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필요한 조치를 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영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