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정부, 내년부터 北과 경제교류 끊기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태국 정부가 북한과의 교역량을 ‘단교’ 수준으로 크게 줄였다고 밝혔다.

북핵 6자회담 미국 측 수석대표인 조셉 윤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22일 오전 서울 세종로 외교부청사에서 한국 측 수석대표인 김홍균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2017.3.22/뉴스1

북핵 6자회담 미국 측 수석대표인 조셉 윤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22일 오전 서울 세종로 외교부청사에서 한국 측 수석대표인 김홍균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2017.3.22/뉴스1

로이터 통신은 15일(현지시간) 왈롭로사노 태국 국가안보위원회(NSC) 위원장은 이날 방콕에서 윤 대표와 만난 뒤 기자들에게 “미국 측에서 북한에 대한 외교 및 경제적 압박을 강화해 달라고 요청했다”며 “우리는 북한과의 교역을 이미 큰 폭으로 줄였으며, 앞으로 북한 국민에 대한 비자 발급을 축소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태국 상무부의 핌차녹 무역정책국장도 이날 “2017년 말에는 북한과 태국 간 수출입 물량이 전혀 없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실제로 태국은 과거 북한의 4대 교역국 가운데 하나로 꼽혔으나 최근 제재 강화 국면에서 양국 간 교역 규모가 큰 폭으로 줄었다. 북한과 태국은 1975년부터 외교 관계를 맺어왔다. 북한은 1991년 방콕에 대사관을 개설했고, 현재 7명의 외교관을 파견한 상태다. 동남아시아에 몇 안 되는 북한 대사관 중 하나다.

태국은 올 상반기 북한과의 교역 규모를 대폭 줄이긴 했지만 교역 자체를 중단하지는 않았다. 북한 무역회사와 해운회사가 여전히 태국에서 영업 중이어서 북한의 돈줄이 숨어 있을 가능성이 제기돼 왔다.

태국 정부 통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태국과 북한의 교역 규모는 150만 달러(약 17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 1900만 달러(약 214억원)의 10%에도 못 미치는 수준으로 떨어졌다.

한편 윤 대표는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5’를 발사한 북한에 대한 압박과 제재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태국을 방문했다. 이와 관련, 태국에서 왈롭로사노 국가안보위원회(NSC) 위원장과 비라싹풋라쿤 외무차관 등을 면담한 윤 대표는 “우리는 매우 건설적이고 제약 없는 대화를 나눴다. 태국에 특별한 요구사항은 없다. 태국 외무차관이 말했듯이 그들(태국)은 유엔 결의를 충실히 이행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고 평가했다.

배재성 기자 hongdoy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