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공산당 "군중 폭동 늘고 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중국 공산당이 대규모 군중 폭동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시인했다. 당이 직접 나서 민감한 사안을 언급하는 것은 이례적이다. 그만큼 사안이 심각하다는 증거다.

어우양쑹(歐陽淞) 당 조직부 부부장은 1일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들어 이런저런 원인으로 농민.노동자 시위, 이해집단 간의 물리적 충돌, 공공기관 습격 등 집단 소요 사건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고 밝히고 "당과 정부는 이를 중시해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어우 부부장은 중국의 현재 상황을 "1인당 국민소득이 1000달러에서 3000달러를 향해 가고 있는 중요한 시기"라고 규정한 뒤 "중국이 이런 발전기에 있기 때문에 모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고 군중 폭동의 증가 배경을 설명했다.

관영 신화통신도 이날 공안부 자료를 인용해 "지난해 전국에서 발생한 공무방해, 이해집단 간의 물리적 충돌, 집단적인 항의시위 등 공공질서를 어지럽힌 사건은 8만7000여 건으로 전년도에 비해 6.6%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집단 소요사건의 원인은 ▶농촌 당 간부들의 전횡 ▶불합리한 노사관계 ▶토지 강제환수 ▶무리한 집단 이주 ▶급격한 기업의 구조조정 등 다양하다.

사실 집단 소요는 이제 중국에서 더 이상 비밀이 아니다. 지난해 발생한 대규모 폭동 사건만 해도 충칭(重慶)시 시민 5만여 명의 구청 건물 점거사건(10월 18일), 쓰촨(四川)성 한위안(漢源)시의 10만여 명 폭동(10월 28일), 광둥(廣東)성 둥완(東莞)시의 노동자 5만여 명 거리시위 사건(12월 25일) 등 10여 건에 달한다. 중국사회과학원은 2004년 중국에서 발생한 군중 소요 사건을 7만4000건으로 집계했다. 1993년(1만여 건)에 비해 7배 이상으로 늘어난 규모다.

이 정도면 정부가 쉬쉬하면서 처리할 수 있는 규모가 아니다. 외국 언론의 눈도 점차 매서워지고 있다. 결국 당과 정부는 문제를 계속 어둠 속에 가둬 두는 것은 방법이 아니라고 판단한 듯하다.

차라리 문제를 과감하게 드러내고, 이를 통해 사회적인 토론과 합의를 거쳐 문제를 해결하는 편이 더 나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베이징=진세근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