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인도와 핵기술 협력 합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인도와 미국이 2일 두 나라 간 핵 협력 협정에 합의했다. 조지 W 부시 대통령과 만모한 싱 인도 총리는 이날 인도 뉴델리에서 인도 핵시설을 군사용과 민수용으로 분리하는 대신 미국이 인도에 민수용 핵 연료와 기술을 공급한다는 핵 협력 협정을 최종 타결했다.

◆ 부시, 인도와 핵 협력 협정 합의=미국과 인도의 합의는 미국이 핵확산금지조약(NPT) 미가입국인 인도의 핵보유국 지위를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기존의 핵 정책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부시 미 대통령은 이날 합의 직후 "엄청난 에너지 소비국인 인도가 민수용 원자력을 확보하면 석유 소비가 줄어들 수 있는 만큼 이는 미국의 국익과 합치된다"고 강조했다.

미국이 이란 등에 대해서는 평화적 목적의 원자력 이용조차 막으면서도 NPT에 가입하지도 않은 인도와 핵 기술 협력을 추진하는 이유는 거대한 인도의 원전 시장 때문으로 풀이된다. 인도는 현재 고속 경제성장으로 전력 부족이 심각하다. 이에 따라 원전을 대체 에너지원으로 확대하는 정책을 추진 중이다. 인도 정부 통계에 따르면 원전 비중은 전체 발전량의 4.5%에 불과하다. 현재 15기의 원자로를 가동하고 있는 인도는 8기의 원자로를 추가 건설 중이고 앞으로도 전력 생산에서 원전이 차지하는 비중을 계속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 프랑스도 인도에 손짓=지난달 하순에는 자크 시라크 프랑스 대통령이 인도를 방문했다. 시라크 대통령과 싱 총리는 지난달 20일 평화적 목적의 핵 개발에 대한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시라크 대통령의 인도 방문을 계기로 프랑스 원전업체들은 이미 인도 시장 진출을 서두르고 있다. 석유가 나지 않는 프랑스는 에너지 소비에서 원전 비중이 78%에 이르며 원자력의 전력화 부문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 파키스탄 시장 노리는 중국=중국은 파키스탄을 타깃으로 삼았다. 중국 정부는 지난달 28일 파키스탄에 325㎽급 원전 설비를 공급하기로 했다고 파키스탄 관리가 2일 밝혔다. 중국은 앞으로 또 다른 원전 1기를 파키스탄에 공급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홍콩=최형규 특파원, 장세정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