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아베와 5번째 정상 통화 "북 도발은 이웃 국가에 대한 '폭거'"...늑장 대응 지적도

중앙일보

입력

문재인 대통령이 30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전화 통화를 갖고 “북한에 대한 압력을 극한까지 높여 북한이 스스로 먼저 대화의 장으로 나오게 해야 한다는데 인식을 같이 했다”고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이 밝혔다. 전날 일본 상공을 통과한 북한의 중거리탄도미사일(IRBM)과 관련해 아베 총리의 요청으로 이날 통화가 이뤄졌다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두 정상간 통화는 문 대통령의 취임 후 다섯번째로 오전 9시30분부터 약 25분간 이어졌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5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네 번째 정상 통화를 했다. 두 정상은 북핵 문제와 한반도의 엄중한 상황 인식을 공유하고, 북한 핵과 미사일의 완전한 폐기를 위해 한·일 간 및 한·미·일 간 긴밀한 공조를 확인했다.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는 다음달 6~7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리는 제3회 동방경제포럼에서 두 번째로 만나게 된다.  [중앙포토]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5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네 번째 정상 통화를 했다. 두 정상은 북핵 문제와 한반도의 엄중한 상황 인식을 공유하고, 북한 핵과 미사일의 완전한 폐기를 위해 한·일 간 및 한·미·일 간 긴밀한 공조를 확인했다.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는 다음달 6~7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리는 제3회 동방경제포럼에서 두 번째로 만나게 된다. [중앙포토]

 문 대통령은 이날 아베 총리에게 “일본 상공을 통과한 중장거리 탄도미사일 발사는 도발을 넘어 이웃 국가에 대한 폭거”라며 “한국 정부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 직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를 즉각 소집하여 북한 도발을 강력하게 규탄했고, 전투기 4대를 출격시켜 강력한 포탄 8발을 투하하는 무력시위를 했는데 이는 역대 최고 강도의 대응이었다”고 설명했다고 박 대변인은 전했다. 이날 문 대통령이 ‘폭거’라는 단어를 사용한 것은 전날 아베 총리를 비롯한 일본 정부가 북한의 도발을 ‘폭거’로 규정한 것과 보조를 맞췄다는 해석이 나왔다. 문 대통령은 북한의 미사일 도발로 일본 국민이 느낄 불안과 위협에 깊은 공감과 위로를 전하고 다음달 초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리는 동방경제포럼에서 만나 공동 대응 방안을 추가로 논의하기로 했다고 박 대변인은 덧붙였다.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가 “보다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대북 대책이 담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제재 결의안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한ㆍ미ㆍ일이 논의를 주도하면서 중국과 러시아의 협력을 얻기 위해 공동으로 노력하자는데 합의했다”고도 박 대변인은 전했다. 유엔 안보리는 전날 개최한 긴급회의에서 북한의 도발 행위를 규탄하는 의장성명 채택에 전격 합의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추가 대북 제재안과 관련해 “지난번 제재 결의안에서 좀 아쉽게 평가된 것이 북한에 원유 공급 중단과 석유 제품 수출 금지 제한 조치 아니었느냐”며 “결과적으로 그런 것들이 어떻게 이번 제재 결의안 추진에 반영될 지가 관심사가 아닐까 한다”고 말했다.
 이날 통화로 북핵 대응을 위한 한·일간 공조 방침이 재확인됐다는 평가다. 그러나 전날 북한 미사일 도발에 따른 한국과 일본의 대응을 살펴보면 이날 통화는 늑장 대응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아베 총리는 전날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직접 주재하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40분간의 전화 통화를 통해 “지금은 북한과 대화할 때가 아니며 한층 더 압박을 높여 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그러나 같은날 청와대는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NSC 상임위원회만 열렸다. 정상간 통화 대신 정 실장과 허버트 맥매스터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이 통화를 했다. 문 대통령은 송영길 북방경제협력위원장 등에게 임명장을 수여하는 자리에서 “오늘도 북한의 미사일 도발이 있었지만 그럴수록 남북 관계의 대전환을 이뤄야 한다”는 메시지를 내놨다. 청와대 내에선 문 대통령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무기화’를 ‘레드라인’으로 규정(지난 17일 취임 100일 기자회견)한 이상 ICBM급 도발이 아닌 경우엔 문 대통령이 직접 나서기 어려울 것이란 분위기가 감지된다. 문 대통령이 그은 레드라인이 오히려 청와대 발목을 잡는 모양새다.
 청와대는 한·일 정상 통화에 이어 한·미 정상간 통화도 조율중이라고 한다. 늑장 대응 지적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정상간 통화 여부가 한·일 또는 한·미·일 3국간의 긴밀한 공조를 측정하는 수단이 될 수 없다”며 “28일 밤부터 청와대 위기관리센터가 밤샘 대기했고 대통령은 (미사일) 최종소멸 시점을 기준으로 미사일이 날아가는 동안에 4번 생중계 식으로 보고를 받았다”고 말했다. 위문희 기자 moonbright@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