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F, 北 ICBM 도발·남중국해 영유권 문제 입장차로 선언문 채택 지연

중앙일보

입력

필리핀 마닐라에서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이 진행중인 가운데, 공동 선언문 채택이 지연되고 있다.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개발과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 등을 놓고 회원국 간 입장차가 큰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6일 오전(현지시간) 필리핀 마닐라의 '필리핀 인터내셔널 컨벤션 센터(PICC)'에서 열린 한-아세안 외교장관 회의에서 참석자들과 인사하고 있다. 회의에는 대화 조정국인 캄보디아의 쁘락 소콘 외교장관을 비롯한 동남아국가연합 10개국 외교수장들이 참석했다. 강 장관은 이 자리에서 아세안 회원국 장관들과 북핵 문제를 포함한 지역 정세와 한-아세안 관계 강화 방안 등을 논의한다. [연합뉴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6일 오전(현지시간) 필리핀 마닐라의 '필리핀 인터내셔널 컨벤션 센터(PICC)'에서 열린 한-아세안 외교장관 회의에서 참석자들과 인사하고 있다. 회의에는 대화 조정국인 캄보디아의 쁘락 소콘 외교장관을 비롯한 동남아국가연합 10개국 외교수장들이 참석했다. 강 장관은 이 자리에서 아세안 회원국 장관들과 북핵 문제를 포함한 지역 정세와 한-아세안 관계 강화 방안 등을 논의한다. [연합뉴스]

AP통신은 6일(현지시간) 복수의 ARF 참석 국가 외교 관계자들을 인용해 이들 문제에 대한 견해차로 선언문 채택이 늦어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한 외교관은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의 ICBM 시험발사 비난 성명에 대해 캄보디아가 우려를 나타냈다고 전했다. AP통신은 캄보디아의 반대가 중국의 입장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중국이 직접적인 반대 입장을 내는 대신 캄보디아를 통해 우회적으로 반대 입장을 내보이는 것이라는 분석이다.

또 다른 소식통은 남중국해 문제를 놓고도 이견이 나타났다고 전했다. 베트남은 중국의 남중국해 영유권 침해와 인공섬 건설에 대한 비판이 공동선언에 들어가야한다는 입장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지만 아직 합의에 다다르지 못한 것이다.

ARF는 아세안 10개 회원국의 만장일치를 통해서만 공동선언 또는 성명을 발표할 수 있다. 단 1개 국가의 반대로도 선언 또는 성명의 채택이 불가능한 것이다. 로베스피에르 볼리바르 필리핀 정부 대변인은 A아세안 회원국들의 공동선언이 당초 토요일(5일) 채택될 예정이었다가 막판에 취소됐다고 전했다.

박상욱 기자 park.lepremie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