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영상 추적' 연구팀에 예산 끊은 박근혜 정부

중앙일보

입력

73년 만에 세상에 공개된 한국인 위안부 영상, 그동안 한국인 위안부 자료는 사진과 문서 밖에 없었지만 이번에 영상이 발굴되면서 일본군이 위안소를 운영했다는 증거 자료가 더 탄탄해지게 됐다.

5일 서울시와 서울대 정진성 교수팀은 중국 운남성 송산(松山)에 잡혀 있던 위안부 7명을 촬영한 18초짜리 흑백 영상을 공개했다.

이 과정에서 위기도 있었다.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 이후 박근혜 정부가 위안부 연구 관련 예산 지원을 끊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서울시가 서울대 연구팀에 예산을 지원해 발굴 사업을 진행할 수 있었다.

73년 만에 처음으로 공개된 위안부 피해자의 모습을 담은 영상, 4일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공판에 출석하는 박근혜 전 대통령. [서울시 제공, 연합뉴스]

73년 만에 처음으로 공개된 위안부 피해자의 모습을 담은 영상, 4일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공판에 출석하는 박근혜 전 대통령. [서울시 제공, 연합뉴스]

아직까지 위안부 문제와 관련된 자료는 여전히 일본 정부와 일본군의 공문서가 압도적으로 많이 활용된다. 국내 연구자들의 문서 접근이 어려운 만큼 해외 조사를 통한 자료 발굴이 중요하다는 게 서울시와 연구팀의 설명이다.

강성현 성공회대 교수는 "더 늦기 전에 일본군 위안부 자료의 체계적 조사와 수집이 필요한 만큼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조사·발굴을 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불행한 역사도 기록하고 기억해야 다시는 반복되지 않는 만큼 앞으로도 서울시가 할 수 있는 모든 역량과 자원을 집중해 역사를 기억하고 바로 세우는 데 앞장서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은혜 기자 jeong.eunhye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