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년 된 일본공업규격 IoT 등 반영해 바꾼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1면

일본 광공업제품 제조의 지침이 돼 온 일본공업규격(JIS)이 70여 년 만에 바뀐다. 대상도 광공업제품뿐 아니라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서비스 등까지 확대된다. JIS는 한국의 산업규격인 KS(한국산업표준) 인증과 유사하다. 17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일본 경제산업성은 관련 법률 개정을 통해 IoT 분야 등에서 국제표준규격 만들기에 신속히 대응하기로 했다. 개정안은 내년 1월 개회할 정기국회에 제출될 예정이다. 법률명도 ‘산업표준화법’으로 바꾼다. JIS는 1945년 일본의 패전 후 복구기에 공산품 품질개선이나 생산합리화 목적으로 생겼다. 경제산업성은 70여 년이 지나 역할이 바뀌고 있다고 판단했다.

법 개정에서는 광공업제품뿐만 아니라 서비스 등의 새 성장 분야도 규격 대상에 더하기로 했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시설의 보수점검이나 민박 등 공유경제 서비스 등도 대상이다. 적용 대상을 확대해 서비스의 질이나 내용, IoT를 활용한 절전이나 스마트공장과 같은 것도 규격화할 수 있도록 한다. 관광서비스나 조직관리수법 등도 대상에 포함할 예정이다. JIS 규격도 민간 주도로 정할 수 있게 변경해 국제적인 규격과 조화되기 쉽도록 할 계획이다. 지금은 경제산업성의 일본공업표준조사회(JISC)에서 심의하지 않으면 JIS를 만들 수 없다.

[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