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 재벌규제는 한국기업 역차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현행 공정거래법은 시대에 뒤떨어진 낡은 법이므로 뜯어고쳐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출자총액제한제 같은 재벌 규제를 없애고 공정경쟁을 저해하는 기업을 엄하게 처벌하게끔 개정돼야 한다는 것이다.

김&장법률사무소의 신광식(52.사진) 상임고문은 최근 '공정거래정책 혁신론'이란 책을 발간해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한국개발연구원(KDI)의 법경제팀 팀장과 국무총리실 정책평가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공정거래정책 자문과 평가를 담당했으며 지금은 김&장에서 공정거래 사건을 전담한다. 국내 최고 수준의 공정거래 전문가로 손꼽히는 인물이다.

신 고문은 저서에서 "공정거래법이 제정된 1980년대 초와 경제환경이 크게 달라져 법률과 관련 정책을 혁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선 일정 규모 이상의 재벌이면 규제하는 출자총액제 등 '단체 기합'식 재벌 규제를 없애라는 것이다. 세계화.개방화로 외국 기업들이 우리나라 안방을 헤집고 다니는데 한국 기업에 족쇄를 채우는 규제는 역차별이라는 것이다. 경쟁제한적 기업결합이나 시장지배력을 남용하는 행위를 일벌백계해야 한다는 주장도 했다. "공정위가 독점 우려가 큰 기업결합까지 거의 다 허용해 자동차.주류 등 주요 산업이 사실상 독점산업으로 변했다"는 이야기다.

신 고문은 "지금부터라도 공정위는 법 집행이나 분석 능력을 키우는 데 전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최근 마이크로소프트(MS)코리아에 거액의 과징금을 물린 사건을 예로 들면서 공정위가 정보기술(IT) 산업의 경쟁 문제를 제대로 식별.검토할 전문성과 분석 역량이 미흡하다고 주장했다.

김영욱 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