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연설대 선 北 리용호 외무상 "핵개발 왜 우리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우리 생존권을 보호하기 위해 핵의 질적ㆍ양적 강화는 계속된다"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핵개발 지속 시사
"핵개발 먼저 한 나라 문제 된 적 있었나"
윤병세 외교장관 "북한 회원국 자격 재고"

리용호 북한 외무상이 23일(미국 뉴욕 현지시간)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리는 제71차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한 발언이다.


▶추천 기사기러기 2000마리 떼죽음 '옥천 의혹' 알고보니



리 외무상은 "최근 우리가 성공적으로 진행한 핵탄두 폭발실험은 미국을 비롯한 적대세력의 위협과 제재 소동에 대한 실제적 대응 조치의 일환"이라며 "적이 우리를 건드린다면 우리도 맞받을 준비가 돼있다는 당과 인민의 초강경 의지의 과시"라고 주장했다.

그는 "조선반도 정세가 통제 불능에 빠진 것은 미국이 대 조선 적대시정책을 버리지 않고 침략전쟁을 자꾸 벌이는 데 근원이 있다"며 "미국의 핵 위협으로부터 안전을 지키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한 끝에 부득이 핵무장을 택했다"고 말했다. 핵 실험을 자위적 조치라고 강조한 것이다.

기사 이미지

리용호 북한 외무상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강화 움직임에 대해 "우리보다 먼저 (핵무장을) 시작한 다른 나라가 안보리에서 문제 된 적이 단 한 번도 없었는데 어떤 권한과 근거로 금지교리를 채택하는가"라며 "핵과 탄도 로켓 활동이 위협된다는 법률적 근거는 유엔 헌장에도, 국제법에도 명시된 게 없다"고 했다.

앞서 우리나라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북한의 유엔 회원국 자격을 문제 삼으며 대북 제재에 대한 국제 사회의 공조를 호소했다. 윤 장관은 22일(현지시간)에 가진 기조연설에서 "북한이 평화 애호 유엔 회원국으로서 자격이 있는지를 심각하게 재고해 보아야 할 시점이라고 생각한다"며 "북한은 다수의 유엔 안보리 결의들을 위반해 지금까지 5차례의 핵실험을 자행했다"고 지적했다.

윤 장관은 또 "안보리는 결의 2270호를 뛰어넘는 보다 강력하고 포괄적인 제대 조치를 취해야만 한다"며 "결의 2270호의 빈틈을 막고 기존 제재 조치를 더욱 확대,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23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모든 국가의 핵실험 금지를 촉구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안보리는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안보리 회의에서 포괄적핵실험금지(CTBT) 조약 채택 20주년에 맞춰 이 조약을 조속히 실행할 것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미국 주도로 작성된 이 결의안은 15개 이사국 중 14개국이 찬성했다. 다만 이 결의안은 법적 구속력 없이 상징성만 갖고 있다. 향후 관심은 강제력을 가진 대북 제재 조치의 강화 여부다.

유길용 기자 yu.gily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