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국 선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17일 서울에선 순국선열합동추모대제전이 있었다.
상해 임시정부 때부터 지내온 추모대제는 벌써 66회 째를 맞았다.
그러나 이 제전의 실제 주관자인 순국선열 유족들은 광복 40년의 시점에서 적잖게 아쉬움과 괴로움을 느끼고 있다.
그것은 크게는 나라의 애국정신이 희미해지고 있다는 탄식이며, 작게는 정부와 국민의 무심이 지나치다는 호소다.
정부가 광복 후 나라를 위해 희생된 분들에겐 응분의 보상과 배려를 해왔으면서 『순국선열의 말없는 희생에 대해서는 어떤 보상도 없었다』는 주장도 한다.
추모대제에 모셔진 순국선열은 그 수가 분명하진 않다.
대체로 1895년 을미사건이래 광복 때까지 일본군에 학살된 이는 모두 포함된다고 한다. 그 수는 무려 16만2천여 명. 그러나 그 순국선열은 대개 절손이거나 살아남기 위해 숨어살아 유존한 가족은 불과 기천이다.
「순국」은 원래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치는 것을 뜻한다. 그 전거는 『한서』에 나온다. 「항상 분투하여 몸을 돌보지 않고 목숨으로 나라의 위급을 지킨다 (상분부고신 이순국가지급)는 것이다.
그 말은 「순난」과도 통한다. 그러나 더 근본적인 것은 「순도」다. 정의 또는 종교를 위해 목숨을 바치는 일이다. 『맹자』 에는 「천하무도 이신순도」라는 말도 있다. 그것은 「순사」 혹은 「순절」과도 통한다.
1905년 을사협약에 의해 나라를 일본에 빼앗겼을 때 목숨을 버린 순국의 의사들이 줄을 이었다.
11월 28일 전 참판 홍만식이 음독 자결하고 30일에 시종무관장 민영환이 자결했다. 12월 1일에 조병세와 이명재가 자결했고 6일에 평양 진위대 상등병 김봉학이 칼을 물고 자결했다. 30일엔 전 참판 송병선이 음독 자살하고 재상집 노비들 중에도 부엌칼로 목을 찔러 자살하는 이가 있었다.
순국의 선비들이 남긴 유언은 특히 대의가 무엇인가를 생각케 한다.
최익현은 대마도에서 절식으로 죽을 때 『아사하는 것은 극히 작은 일이다. 실절하는 것은 너무도 큰일이다』고 했다.
의병을 일으킨 후 잡혀 죽은 정환직의 사세시도 있다. 「몸이야 없어진들 굳은 마음만은 변할 수 없다. 의만이 중한 것이니 죽은들 어떠랴.」(신망심불변 의중사유경)
나라를 위해 목숨을 버린 이들은 많다. 그들의 유덕을 기리는 것은 다만 형식과 허례일 수도 없다. 나라의 대의와 정도가 살아난다면 그것만이 순국의 보상이 아닐까.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