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취재일기

어디 갈지 도통 알 길 없는 ‘어디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9면

남윤서 기자 중앙일보
기사 이미지

남윤서
사회부문 기자

“교육부가 공개한 대입정보포털 ‘어디가(adiga.kr)’는 사교육 시장의 대입정보를 파격적으로 대체할 것이다.” 지난달 24일 교육부 공식 블로그는 대입정보포털 ‘어디가’를 소개하면서 이런 표현을 썼다. “사교육 업체는 학생들의 성적으로 대학 커트라인을 추정해 왔지만 대학이 정보를 공개하는 어디가는 사교육 시장이 지금까지 분석한 자료를 완벽하게 대체한다”고도 했다. 일주일 뒤인 31일 어디가에 각 대학의 전년도 입시결과 정보가 탑재되기 시작했다. 교육부 표현대로 ‘파격적’이고 ‘완벽’하게 사교육을 대체할 수 있다면 대학 합격정보를 무기 삼아 영업해 왔던 사교육 업체에는 날벼락이 떨어지는 날이어야 했다.

하지만 기자가 접촉해 본 사교육 업체 관계자들은 대부분 “그러면 그렇지”라며 안도했다. 현재 어디가에는 서울 소재 주요 대학을 포함한 대부분 대학의 전년도 입시 결과 정보가 올라와 있다. 서울대가 아직 정보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곧 공개할 예정이다. 사교육 업체 관계자들은 “지금까지의 공개 방식을 유지한다면 모든 대학이 참여한다고 해도 수험생에게 충분한 정보는 되지 못한다”고 평했다.

기사 이미지

[일러스트=김회룡 기자]

왜일까. 우선 대학 간 비교가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연세대·고려대의 합격 가능성을 비교하려는 학생이 어디가에 접속한다면 오히려 혼란만 커질 수 있다. 연세대는 상위 80% 커트라인의 내신 등급을 공개하고 고려대는 합격자 전체의 평균 등급을 공개해 기준이 다르기 때문이다. 논술이나 면접 등 다른 요소에 대한 정보 없이 내신 성적 평균만 공개했다는 점도 문제다. 어디가에 따르면 수시 일반전형(논술전형)의 경우 연세대 심리학과는 상위 80% 커트라인이 5등급이고 이화여대 교육학과는 상위 80% 커트라인이 3.2등급이었다. 그렇다고 해서 내신 5등급인 학생이 연세대에는 합격하고 이화여대는 떨어질 거라고 예상할 수 있을까. 논술이나 수능 최저학력 등에 관한 정보가 없는 상황에선 이런 예상은 무의미하다.

어디가를 활용하면 각 대학 내의 전년도 입시 결과 학과별 서열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서울의 한 고교 교사는 “대략적 학과 서열은 이미 알려졌고 구체적 서열은 매년 입시 상황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물론 교육부가 대학들이 꽁꽁 숨겨뒀던 입시 결과 정보를 일부나마 공개한 것은 상당한 진전이다. 그러나 애초 취지대로 사교육을 대체하는 공교육 입시포털이 되기에는 부족하다. 어디가에는 실제 입시에 활용할 수 있는 정보가 담겨야 한다. 한두 방울의 물로는 복잡한 입시제도에서 정보에 목마른 수험생과 학부모의 갈증을 더할 뿐이다.

남윤서 사회부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