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원고 존치교실 이전, 유가족들 사실상 거부

중앙일보

입력

기사 이미지

입학식을 마친 단원고 학생들이 선배들이 사용했던 존치교실(4·16 기억교실)을 지나가고 있다. 학교에는 명예 3-3반 같은 존치교실이 10개 있다. 김현동 기자

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경기 안산 단원고 학생들이 사용했던 존치교실(4·16 기억교실) 이전에 대해 유가족들이 거부의사를 밝혔다. ‘시기가 이르다’는 이유에서다. 유가족 대표들은 지난 8일 열린 ‘단원고 존치교실 관련 협의회’ 3차 회의에서 참사 2주기인 다음달 16일 존치교실 이전에 합의하고 제안문을 작성했다.

경기도교육청은 17일 오후 안산교육지원청에서 열린 협의회 4차 회의에서 유가족 대표들이 유가족로부터 제안문의 승인을 받아오지 못해 회의를 다시 열기로 했다고 밝혔다. 유가족들은 “존치교실을 이전하기에는 시일이 이르다”는 이유로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협의체 다른 주체인 도교육청과 단원고, 재학생 학부모, 종교단체 등은 옮긴다는 기존 입장을 유지했다. 416연대는 입장을 밝히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재학생 부모들은 즉각 반발하며 2주기에 맞춰 교실을 이전해 줄 것을 요구했다.

협의체가 해산되는 것은 아니다. 오는 24일 5차 회의를 열기로 합의했다. 유족들은 5차 회의에서 이전에 대한 최종 입장을 밝힐 것으로 알려졌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사회적 합의를 통해 나온 제안문을 존중한다”며 “4차 협의에서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지만 앞으로 합의가 이뤄질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안산=임명수 기자 lim.myoungs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