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3차례 남북접촉 제안 … 북한 아무런 답도 없었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부가 8·25 합의 후속 조치인 남북 당국회담을 열기 위해 예비접촉을 갖자고 세 차례나 제안했지만 북측으로부터 아무런 답변을 듣지 못했다고 통일부가 6일 밝혔다. 이에 따라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 등 남북관계 개선 흐름에 제동이 걸렸다.

8·25 합의 후속 당국회담
“북, 타이밍 고심할 수도”

 통일부는 지난 9월 21일 홍용표 장관 명의로 북측 김양건 노동당 비서 겸 통일전선부장 앞으로 1차 전통문을 보내 “10월 2일 판문점 남측 평화의 집에서 당국회담을 위한 예비접촉을 갖자”고 제의했다. 하지만 북한은 이틀 뒤인 9월 23일 “대북전단 살포, 북한인권법 제정 논의 등과 관련해 통일부 당국자들이 남북 대결 선동에 앞장서고 있다”는 답신을 보냈다. 이에 통일부는 하루 뒤인 9월 24일 예비접촉 제의에 호응하라는 2차 전통문을 보냈으나, 북측은 답신을 보내지 않았다고 한다.

 통일부는 제20차 이산가족 상봉 행사(10월 20~26일)가 마무리된 후인 지난달 30일 예비접촉을 촉구하는 세 번째 전통문을 보냈다. 하지만 북한은 이 전통문의 수령을 거부하면서 “(평양에서) 아직 받으라는 얘기가 없다”는 입장을 전해 왔다고 한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북한이 당국회담의 타이밍을 고심하는 것일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남북은 북한의 목함지뢰 도발 사건 이후 김관진 청와대 안보실장과 홍용표 장관, 북한 황병서 군 총정치국장과 김양건 비서 등 4인이 판문점에서 무박 4일 회담을 한 뒤 8월 25일 당국회담 개최 등에 합의했다. 당시 양측은 공동 보도문 1항에 “남북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당국회담을 서울 또는 평양에서 이른 시일 내에 개최한다”고 적시했다.

전수진 기자 chun.suj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