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청와대 인사수석의 허가권 개입 의혹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4면

경기도 광주시 오포 아파트 인.허가에 정찬용 전 청와대 인사수석이 개입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구속 기소된 브로커가 정 수석에게 청탁했었다고 검찰에서 진술했다는 것이다.

문제의 브로커는 정 전 수석이 시민활동을 하던 시절 만난 인물로 둘은 친한 사이로 알려졌다. 정 전 수석은 브로커로부터 부탁 전화를 받고 민원실에 접수시키라고 했을 뿐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청와대 대변인은 관련 민원이 민원실에 접수되거나 이첩된 사실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정 전 수석의 해명에 앞뒤가 맞지 않고 석연치 않은 점이 있는 것이다.

더구나 건교부 고위 관계자는 해당 건설업체에 아파트 사업 승인 불가 통보를 한 뒤 인사수석실 연락을 받고 가서 정 전 수석이 없어 대신 행정관에게 승인해주기 어렵다고 설명해줬다고 한다. 건교부 공무원이 도대체 무슨 이유로 아파트 건설 행정과는 전혀 연관이 없는 인사수석실에 해명했는지 궁금하기 짝이 없다. 어느 모로 보나 청와대 인사수석이 지닌 위력이 아니고서는 불가능한 일이다.

오포 아파트 사업은 비리 덩어리다. 인.허가를 둘러싸고 국회의원과 시장, 경기도지사의 측근인 경기개발원장이 뇌물수수 혐의로 구속되는 등 비리 냄새가 진동한다. 정 전 수석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 검찰은 분명하게 밝혀내야 한다. 정 전 수석은 이미 행담도 개발 의혹 사건 때도 직권 남용 의혹을 받은 바 있다. 연이어 터지는 이러한 인사수석의 비리혐의를 그냥 넘길 수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