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로3가·여의도·교대역 인근서 지하 동공 41개 발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지난해 11월 30일. 일본 지하 탐사 업체 지오서치(Geo Search)가 서울 종로3가역 일대를 돌며 지하 동공(洞空·텅 빈 굴) 찾기에 나섰다. 동공 탐지 작업엔 차량용 지표면 투과 레이더(Ground Penetrating Radar·GPR) 장비가 동원됐다. 지진 발생이 잦은 일본은 지하 탐사 기술에서 한국보다 앞서 있다.

 결과는 예상을 뛰어넘었다. 종로3가역 일대 도로를 한 개 차선씩 점검한 결과 동공 18개가 확인됐다. 1㎞마다 1.2개꼴이다. 12월 4일까지 같은 방법으로 이어진 조사에서 교대·서초·강남역 일대 도로 역시 동공 18개가 확인됐다. 여의도역 일대에서도 5개의 동공이 발견되는 등 총 41개가 발견됐다. 이 중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높은 A급 동공은 강남·북 통틀어 18개였다. 지난해 80m의 거대 동공이 발견된 석촌지하차로에서도 조사를 진행했지만 추가 동공을 확인하진 못했다. 서울시는 이 같은 결과를 지난해 12월 31일 내놨다.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번 조사로 확인된 동공은 당장 함몰할 위험은 없다”며 “관리 우선순위를 위해 A·B·C 등급으로 분류했다”고 말했다. 지표면을 기준으로 A급은 30㎝ 이내 깊이에 위치한 동공을 말한다. B급은 지하 30~50㎝에 있는 동공이고 C급은 A·B를 제외한 동공으로 위험도가 낮다.

 서울시가 이번 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노후 하수도관을 따라 동공이 집중된 사실이 나타났다. 그간 노후 하수관은 동공을 만드는 주원인으로 꼽혔다.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높은 A급 동공이 강남에 비해 시설이 노후한 강북에 집중된 것도 이 같은 사실을 뒷받침한다. 강북의 경우 A급 동공 9개가 돈화문로에 집중된 반면 강남에선 A급 동공 8개가 교대·서초·강남역 일대에 퍼져 있었다. <그래픽 참조>

 서울지역 하수관(1만392㎞) 중 48%(5023㎞)가 30년이 넘은 노후관이다. 전국적으로 보면 노후 하수관은 서울·부산 등 대도시에 몰려 있지만 개·보수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환경부가 2012년 한 해 동안 폐쇄회로TV(CCTV)를 이용해 정밀 조사한 하수관은 1603㎞. 전국에 퍼져 있는 하수관을 모두 이으면 12만3306㎞라는 점에서 하수관 정밀 조사를 위해선 76년이 걸린다. 동공이 지하철 노선 근처에 집중된 것도 특이한 점이다. 지하철 공사로 인한 장기 침하가 또 다른 동공 발생 원인이라는 게 시의 판단이다.

 서울시는 이번에 확인된 동공들을 올해 봄부터 굴착·보수할 계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동공 안을 들여다볼 수 있는 내시경 검사 장비 등이 도입되지 않아 굴착을 해봐야 정확한 크기와 위험도를 가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를 무료로 진행한 일본 업체는 동공 크기 대신 A·B·C로 나눈 등급만 서울시에 통보했다. 동공 크기 분석은 업체의 핵심 기술이라는 이유에서다.

 서울 도심에서 다수의 동공이 확인됨에 따라 땅속지도 작성 작업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해 9월 국무회의에서 “싱크홀 논란을 계기로 관련 부처와 지방자치단체가 모여 예산을 확보하고 지하통합지도를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울시도 차량형 GPR 장비(약 6억2000만원)를 올해 도입할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꾸준한 관리를 강조한다. 관동대 박창근(토목학) 교수는 “당장 함몰 위험은 없겠지만 수년간 그대로 방치한다면 싱크홀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며 “사람도 정기 건강검진을 받듯 땅속도 정기 검사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기헌·장혁진 기자

◆동공(洞空)과 싱크홀(sink hole)=지표면 충적층(모래·자갈)이 지하수 등으로 유실돼 지반이 내려앉아 형성되는 구멍을 싱크홀이라고 한다. 동공도 마찬가지 원리로 생기지만 표면은 남아 있고 그 밑부분이 비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