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도교의 뿌리는 한국신자유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중국 도교의 핵심사상을 이루고 있는 신선사상은 한국의 원시 토착사상에서부터 발전된 것이며 따라서 한민족의 사상은 중국 도교사상 발생의 중심이라는 학설이 나와 관심을 끌고있다. 한국인문과학연구소 도광정 소장은 13일 세종문화회관 소 회의실에서 열린 「도교학술회의」(인문과학연구소주최) 에서 한국의 토착사상인 신선사상은 그 성립연대로 보아도 중국사상보다 앞서며 중국의 문화를 지배한 민족이 동이족 이었다는 사실을 감안, 도구의 원류는 한국사상이라고 주장했다.
부소장은 도교의 핵심인 신선사상이 한국에서부터 발생했다는 근거로서 도교가 내세우는 신선산가운데 주산이라고 볼 수 있는 삼신산을「사기」「위서」등 많은 중국기록에서 단군신화에 나오는 태백산으로 추정하고있으며 심지어 역역유기등 문헌에서는 삼신을 환인·환웅·단군으로 지목하는 것등을 들었다.
도소장은 또 진시황은 서복면과 한종을 시켜 삼신산을 찾게 했는데 한종은 마한으로 왔다는 기록도 있으며, 중국 역대의 유명한 신선들 모두가 한민족 출신이었거나 한국과 인연이 있는 것 처럼 중국의 「사기」「장자」 「역대신선통감」이 기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산해경」「비기」「후한서」 등 중국 문헌에는 한국을 「군자부사지국」 (죽지 않고 영원히 사는 군자의 나라)이라고 표현해 신선 국임을 말해주고 있다는 것.
단군신화·동명왕 신화·박혁거세 신화·김열지 신화·김수로왕 신화 등 한국의 건국신화 주인공이 모두 천자신손적인 존재로 되어있어서 하늘(천)에 혈통을 둔 신선처럼 돼 있다는 것이다.
도소장은 숭천 사상·산악숭배사상· 자연숭배사상과 깊은 관련을 갖고있는 신선사상은 산악지방을 배경으로 한 유목기마문화민족인 동이족의 사상적 바탕이며 농경문화권의 한민족은 유교를 사상적 근거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국 전통문화 또는 전통사상의 결정체라고 볼수 있는 「풍류도」 는 신선사상의 승화된 형태인데 최치원은 이를 「현묘지도」라고 표현했으며 이 현묘한 도는 곧 신선도를 의미한다는 것. 풍류도를 선랑 선인 선도 선화 국선 화랑이라 한 것은 신선의 무리임을 뜻하며 풍류도의 노래인「향가」는「샹노래」(선가)즉 신선의 노래를 뜻한다는 풀이다.
도소장은 이 같은 사실을 들어 신선사상은 한국의 토착적 고유사상이며 주체적 민족사상일 뿐 아니라 이 사상은 중국의 도교를 발생시킨 근원사상이었다고 주장했다.
도교가 우리 나라에 처음 들어온 것은 고구려 영류왕 7년(서기624)당으로부터 이지만, 그 이전에 한국에는 도교의 근본사상인 신선사상이 주체적인 사상으로 일반화돼 있었다고 도소장은 밝혔다.
이날 학술회에서는 도소장의 「한국사상과 신선사상」의에도 ▲일본 도교 학 회장 「사까이· 다다오」(주정 충부) 박사가 「중국도교와 그 한일 양국에의 전파」 ▲차주환 교수(서울대) 가 「한국 문화 사상의 도교」 ▲송항룡 교수(성대)가「한국 도교와 유교·불교」▲이종은교수 (한대)가「한국 문학과 도교에 관해 발표했다. <안길모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