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이상 성인, 심혈관질환 위험 급증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우리나라 50대 이상 성인에게는 심장혈관 질환 위험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가 1000명을 대상으로 심장 건강상태를 조사한 결과, 50대 이상에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높은 대사증후군 시민 1500명을 대상으로 심혈관질환 위험인자를 찾기 위한 코호트조사(cohort study)를 시작, 이 중 1000명에게 심장의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검사를 1차년도 실시했다.

심장혈관 컴퓨터 단층촬영검사(CT, computed tomography) 결과, 조사자의 21.7%가 별다른 증상이 없음에도 심장혈관(관상동맥)이 좁아졌다. 그 중 6.6%는 심장혈관이 40% 이상 좁아져 언제라도 심장마비 등의 심장질환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심장혈관의 위험은 연령이 높을수록 심각했다. 특히 50대가 되면서 심장혈관 위험률이 급격히 증가했다. 50대 이상의 25.2% 이상에서 심장혈관이 좁아지는 것으로 관찰됨으로써 이들에 대한 개인 차원을 넘어선 정부 차원의 관리가 이뤄져야 할 것으로 전망됐다.

관상동맥협착 비율 30대 0%·40대 8.4%·50대 22.3%·60대 31.4% 중등도이상 협착 비율 30대 0%·40대 3.74%·50대 5.34%·60대 12.23%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조사 책임연구원인 고려대학교 순환기내과 임도선 교수는 “고혈압·당뇨병·비만·고지혈증 등이 한꺼번에 나타나는 대사증후군은 생활습관병의 근원일 뿐만 아니라 상호작용을 일으켜 질병을 더욱 심각하게 만든다”며 “관상동맥 협착 역시 대사증후군으로 나타나는 심각한 질환중의 하나이다. 평소 증상이 없더라도 50대 이상이라면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심장건강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울시는 50대의 심뇌혈관질환예방 및 건강수명 연장을 위해 25개 자치구 보건소와 함께 시행중인 대사증후군관리사업을 확대하고 개인별 1:1 맞춤 서비스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25개 자치구보건소 대사증후군전문관리센터에 간호사·영양사·운동처방사 등 5~6명의 전문인력이 상주하며 5가지(허리둘레, 혈압, 혈당, 중성지방, 좋은콜레스테롤) 위험요인 검사와 영양·운동·금연·음주·스트레스에 관한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강종필 서울시 복지건강실장은 “심혈관질환예방 코호트를 지속적으로 추적조사해 심혈관질환 위험인자를 찾아내고, 이를 활용해 50대를 위한 맞춤형 건강관리 원스톱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인기기사]

·"문화+교육+체험으로 성장기 비만 탈출" [2014/07/31] 
·서울대보건대학원, 33기 최고위 과정 모집 [2014/07/31] 
·침 치료로 발가락 절단한 당뇨환자, 한의사 책임은? [2014/07/31] 
·국내 네번째 줄기세포 탄생했다 [2014/07/31] 
·인터넷서 판매하는 비아그라·여성흥분제는 모두 가짜 [2014/07/31] 

한석영 기자 syhan@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